정치

"벨라루스, 美 제재에 中 경유해 한국산 등 반도체 부품 조달", 닛케이, 벨라루스 군수기업 내부 자료 입수

산에서놀자 2025. 2. 23. 08:41
728x90
반응형
SMALL

🔹 벨라루스, 중국을 통해 반도체 부품 우회 조달

  • 출처: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닛케이)
  • 정보 제공: 벨라루스 반정부 단체 벨폴 → 벨라루스 군수기업 내부 자료 확보
  • 주요 내용:
    • 벨라루스 군수 기업들이 중국을 경유하여 한국·일본·미국·대만의 반도체 부품을 조달
    • 벨라루스 반도체 제조장치 업체 ‘프라나’, 2023년 말부터 미국 제재 대상
    • 중국 업체 개입으로 일본 니콘의 전자부품 검사용 현미경
      독일 반도체 제조용 정밀기계 공급 계약 체결 (2024년 9월, 11월)
    • 미국·일본·한국·대만 기업과 지속적으로 거래

🔹 한국 기업 관련 사항

  • 벨라루스에 대한 레이저 기술 수출 서류에서 한국 기업 ‘마이크로이미지’ 관련 내용 포함
    • 2024년 9월, 중국 기업이 ‘프라나’에 송부한 2만8100유로(약 4200만 원) 규모의 레이저 관련 품목 수출 서류
    • 해당 문서에 마이크로이미지가 반도체 관련 레이저 기술을 공급한다고 명시됨
  • 한국 정부 반응:
    • 산업통상자원부: "개별 기업의 사항은 확인할 수 없다"
    • 마이크로이미지: 공식 답변 거부

🔹 제재 우회 방식과 국제적 반응 전망

  1. 중국을 통한 제재 회피
    • 벨라루스가 미국 등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중국 기업을 이용한 우회 조달
    • 유사한 방식으로 러시아도 중국을 경유해 반도체·정밀기계 조달
    • 중국이 서방 반도체 장비 및 기술의 중개 역할 수행 가능성
  2. 한국·일본·독일·미국 등 서방 국가 대응 가능성
    • 미국과 EU, 일본이 벨라루스 관련 추가 제재 및 수출 관리 강화 가능성
    • 한국 기업이 직접 거래한 것이 아니라면 정부 차원의 조사 및 재발 방지 조치 필요
    • 한국 기업들의 대(對)벨라루스 및 중국 경유 수출 경로 점검 필요성 대두
  3. 향후 전망
    • 미국·유럽의 대(對)중국 반도체 통제 강화 가능성
    • 한국 등 서방 국가들의 기업이 의도치 않게 제재 대상 국가와 연결될 위험
    • 한국 정부의 대응 주목 → 추가적인 수출 통제 조치 마련 여부

👉 핵심 포인트:

  • 벨라루스, 중국을 통해 한국·일본·미국 반도체 부품 조달
  • 한국 ‘마이크로이미지’ 관련 내용 포함된 수출 서류 발견
  • 한국 정부, 해당 기업 관련 사항 확인 거부
  • 향후 미국·EU의 제재 강화 가능성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