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같은 중국 사업인데…왜 애플은 줄이고, 테슬라는 늘릴까?, 애플 새 캐시카우 서비스부문 중국 규제에 발목… 하드웨어 집중 테슬라는 중국 시장 포기 어려워

산에서놀자 2025. 2. 27. 07:56
728x90
반응형
SMALL

애플과 테슬라의 중국 전략 차이는 각 기업의 수익 구조, 시장 상황, 그리고 미중 관계의 영향을 모두 반영한 결과로 보이네요.

애플: 점진적 축소

  • 점유율 감소: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이 19% → 15%로 하락.
  • 생산기지 이동: 폭스콘 정저우 공장의 생산 인력 감소, 인도·베트남 이전 가속.
  • 서비스 수익 한계: 앱스토어·아이클라우드 등 서비스 부문이 사이버보안법 등 중국 규제로 성장 어려움.
  • 미국 본토 투자 확대: 미국에 5000억 달러 투자 및 일자리 창출 계획 발표.

테슬라: 중국 밀착 전략

  • FSD(완전자율주행) 도입: 중국 정부의 승인으로 자율주행 기술 확장.
  • 중국 공장 확장: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모델Y 생산, 메가팩토리 가동 시작.
  • 매출 비중 확대: 2024년 중국 매출 비중이 36%로 증가, 미국과 비슷한 수준.
  • BYD와 경쟁 심화: 비야디 성장으로 인해 중국 내 입지가 위협받을 가능성.

결국, 애플은 서비스 수익 중심이라 중국 규제가 부담되지만, 테슬라는 자동차 하드웨어 판매가 핵심이라 중국을 떠날 수 없는 상황이네요. 다만, 테슬라가 BYD 등 중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어떤 전략을 펼칠지가 관건일 듯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