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삼성전자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 영업이익: 6조6000억원
- 전년 동기 대비 0.15% 감소
- 시장 예상치(일반적으로 6조5000억~6조7000억 수준)에 부합
- 매출: 79조원
- 전년 동기 대비 9.84% 증가
- 작년 3분기(역대 최대인 79.1조) 수준에 거의 근접
📊 이 실적이 의미하는 것
1. 매출 증가 → 수요 회복 or 고부가 제품군 판매 증가
-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 전 부문이 골고루 회복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 특히 AI 서버용 고성능 D램 (HBM3, DDR5) 수요가 미국·중국 빅테크 중심으로 살아나고 있고,
- 갤럭시 S24 시리즈가 출시되면서 IM(모바일) 부문 실적 개선도 작용했을 수 있습니다.
2. 영업이익 감소의 원인?
- 단 0.15% 감소라 거의 ‘이익 방어’ 수준입니다. 다만:
- 반도체 가격 회복이 아직 완전히 이뤄지진 않았을 수 있고,
- 마케팅비, 인건비 등 고정비가 여전히 높았을 가능성
- 전장부품(하만)이나 파운드리 사업의 초기 투자 비용 반영도 일부 있었을 수 있습니다.
🌏 그런데 글로벌 시장은 지금 ‘폭풍 한가운데’
- 트럼프의 34% 상호관세 + 중국 보복관세 = 세계 공급망 뒤흔드는 구조적 리스크
- 기술기업들은 공급망(특히 반도체 및 전자부품)의 상당 부분이 중국 의존 → 리스크 확대
- 중국의 중희토류 수출 통제까지 시작되면서 AI, 전기차, 반도체까지 타격 가능성 확대
삼성전자의 경우:
- 중국 의존도가 높습니다 (시안 낸드플래시 공장 등)
- 하지만 미국·유럽에도 파운드리 및 패키징 라인을 구축하고 있어, 이 불확실성 속에서 상대적으로 ‘분산된 리스크’를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을 수 있어요.
🧠 정리하면
항목평가
실적 안정성 | 매출은 크게 증가, 영업익은 거의 보합 → 양호 |
글로벌 불확실성 대비 | 공급망 리스크 있음. 다만 지역 다변화로 일부 해소 가능 |
주가 영향 | 단기적으로 글로벌 증시 불안이 발목 잡을 수 있음. 그러나 실적 자체는 펀더멘털 강세 유지 중 |
📉 지금 시점에서 삼성전자는?
-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증시 하락세에 따라 변동성↑ 가능성
- 하지만 실적 자체는 ‘방어’에 성공했고, AI·반도체 회복 흐름 타고 하반기 개선 가능성 충분
- 2분기부터는 HBM3 공급 확대 + 파운드리 수주 회복 + 스마트폰 성수기 효과로 더 개선될 여지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경상수지 71.8억달러 흑자: 비IT 수출의 견인 (55) | 2025.04.08 |
---|---|
트럼프, 中에 “50% 추가 관세” 경고 (19) | 2025.04.08 |
2차대전 핵무기 개발처럼…트럼프가 불 지핀 AI 패권 전쟁, 이상헌 iM증권 연구원 (24) | 2025.04.06 |
JP모건 "올해 미국 경제 역성장…성장률 -0.3%로 하향" (39) | 2025.04.06 |
美 상호관세 앞두고 은행권 긴장… 업종·차주별 관리 강화, 잠재적 부실 영역 조기 선정 계획, 환율 민감 자산 보수적 운용 방침, 올 기업대출 규모 감소 전망 나와 (13)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