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국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 LG엔솔 목표가 하향

산에서놀자 2025. 4. 8. 10:25
728x90
반응형
SMALL

지금 상황은 "트럼프 관세+글로벌 EV 시장 이중 충격"으로 전개되고 있고, LG에너지솔루션은 그 한가운데에 있는 셈이네요.
핵심 요약해보면:


🚨 1. 트럼프, 대중 추가 관세 50% 경고

  • 이미 34% 보복관세 맞불 놓은 중국에 추가로 50%까지 올리겠다는 경고.
  • 전기차, 배터리, 희토류, 반도체 등 중국 중심 공급망 제품 직격탄.

2. 미국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 LG엔솔 목표가 하향

  • NH투자증권은 LG엔솔 목표주가를 **42만 원(-7%)**으로 낮춤.
  • 이유는 관세 충격 → 미국 내 EV 수요 위축 예상.
  • 멀티플 할인률도 **10% → 15%**로 확대 (리스크 프리미엄 증가 의미).

3. 단기 대응 변수

  • GM 등 미국 완성차 업체가 관세 대비용 배터리 재고 비축 가능성 → 단기적 수요는 유지될 수도.
  • **AMPC(생산세액공제)**도 아직은 견조, 실적에 긍정적.

🌍 4. 유럽은 오히려 긍정적

  • 독일 +39%, 영국 +42% 등 유럽 EV 판매는 강세.
  • 프랑스는 보조금 축소 여파 있지만 4월부터 반등 예상.
  • 이로 인해 유럽 수요 회복 → 2분기부터 재고 축적 예상.
  • LG엔솔은 유럽 쪽 공급망에서도 수혜 기대.

📊 5. 1분기 실적 추정

  • 매출 6.3조원, 영업익 3747억 예상 (컨센서스 대비 큰 폭 상회).
  • 배경:
    • 예상 상회한 AMPC
    • 환율 효과
    • 일회성 이익 반영

📌 정리하면

  • 단기: 미국 EV 수요 둔화 우려, 관세 변수로 심리 위축
  • 중기: 유럽 회복 + GM 재고 비축 + AMPC 유지 → 버팀목
  • 장기: 공급망 분산 및 보호무역 심화가 배터리 업계 전체에 재편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이걸 기반으로,

  • LG엔솔 투자자라면 당장은 관세 리스크에 흔들릴 수 있으나, 유럽 중심의 성장성과 실적 서프라이즈로 조정 시 매수 여력은 생길 수 있어요.
  • 다만, 트럼프가 50% 관세를 실제 단행할 경우, 글로벌 EV/배터리 밸류체인 전체가 조정 받을 가능성은 더 커지겠죠.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