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1% 이하' 전망 속출, IMF 기준으로는 선진국 중 하향 조정 폭이 가장 큼, JP모건·블룸버그 등은 "1%

산에서놀자 2025. 4. 24. 16:20
728x90
반응형
SMALL

지금 한국 경제가 직면한 복합적인 위기를 잘 보여주고 있어요. 주요 포인트를 요약하고, 그 의미와 향후 전망을 간략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1% 이하' 전망 속출

📊 주요 기관들의 전망치 (2025년 기준)

기관성장률 전망
IMF 1.0% (내년 1.4%)
JP모건 0.7%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0.7%
캐피털 이코노믹스 0.9%
씨티그룹 0.8%
하이투자증권·IM증권·ING그룹 0.8%
OECD 1.5% (기존 2.1%)
ADB 1.5% (기존 2.0%)

👉 IMF 기준으로는 선진국 중 하향 조정 폭이 가장 큼
👉 JP모건·블룸버그 등은 "1%도 안 된다" 전망


🚧 주요 원인 요약

  1. 수출 급감
    • 4월 1~20일 기준 수출 전년 동기 대비 -5.2%
    • "관세전쟁 후폭풍, 이제 시작"이라는 분석도
  2. 관세전쟁 심화
    • 미국 vs 중국 상호 100%+ 관세 부과 상황
    • 한국은 무역 의존도가 높아 직접적 타격
  3. 정치불안 (비상계엄 포함)
    • 국내 정치 리스크도 성장률 하락 요인
    • IMF 언급: "관세뿐 아니라 국내 사정도 반영"
  4. 내수 부진
    • 민간 소비·설비투자 모두 위축

🇰🇷 한미 2+2 통상협의 기대감에도 '한계'

  • 24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2+2 통상회의 예정
  • 하지만 “관세 자체를 없앨 가능성은 낮다”는 현실적 평가
  • 통상협의가 성공하더라도 성장률 영향은 최대 0.5%p 감축 제한

🧭 전망 및 시사점

  • ‘수출의존형 경제’가 세계 보호무역 흐름에 취약하다는 구조적 약점이 다시 부각됨
  • 비상계엄·정치적 불확실성이 경제 전반에 신뢰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예측 회피: “지금은 예측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불확실성 심해”
  • 재정·금융·통상 전략 재정비 필요성이 커짐

📝 정리하면...

2025년 한국 경제는 "1% 성장도 쉽지 않다"는 평가가 대세입니다.
무역의존 경제구조와 정치불안,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가 동시에 발목을 잡고 있고, 단기적으로 반등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