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직후의 정치 지형과 국정 운영 스타일

산에서놀자 2025. 6. 6. 00:17
728x90
반응형
SMALL

이재명 대통령 취임 직후의 정치 지형과 국정 운영 스타일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일하는 대통령" – 첫 국무회의에서 강력한 국정 드라이브

  • 이재명 대통령, 6월 5일 첫 국무회의를 3시간 넘게 주재.
  • 회의는 김밥 한 줄로 대신하는 도시락 회의로 진행돼, 업무 몰입 강조.
  • 국민 고통을 줄이겠다는 의지 피력:
  • “아직 체제 정비가 필요한데, 그 시간 동안도 국민들은 고생… 그 시간을 줄이고 싶다.”
  • 경제 위기 대응재난·재해 안전 대책에 집중.
  • 회의 직후엔 ‘안전치안점검회의’도 직접 주재, 실무 중심 행보 이어감.
  • 부산 해수부 이전 등 현안에 신속 지시.

🔹 요약: 초반부터 ‘강한 추진력’과 ‘현장형 리더십’을 내세워 ‘일하는 대통령’ 이미지 구축 시도.


🔷 2. 입법 강공 – ‘협치 허니문’ 없이 3대 특검법 등 강행 처리

  • 민주당 주도로 '3대 특검법(내란·김건희·채상병)' + 검사징계법 개정안 등 총 4건 법안이 국회 본회의 통과.
  • 이는 모두 윤석열 전 대통령의 거부권에 막혔던 법안들임.
  • 내란 특검법: 윤 전 대통령의 2023년 12·3 비상계엄 관련 혐의 수사 목적.
  • 김건희 특검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명품 수수 등 16가지 혐의 포함.
  • 채상병 특검법: 2023년 해병대 채상병 수색 중 사망 사건과 수사외압 의혹.
  • 검사징계법: 법무장관이 직접 검사 징계 청구 가능.

🧭 주목할 점:
3개 특검 모두 특검 추천권은 '조국혁신당'에 있음.


🔷 3. 정국 급랭 – 국민의힘, “정치보복” 규정

  • 국민의힘: 본회의 의사일정 합의 없었다며 전면 반대 당론.
  • 그러나 일부 친한계 의원들 이탈, 자율투표 요구 → 몇 명은 찬반 표결 참여.
  • “윤 전 대통령 비호하는 듯한 반대는 정치적으로 부담”이라는 분위기도 감지.

🔷 4. 향후 전망 – 매주 본회의, 법안 밀어붙이기 가시화

  • 민주당은 매주 목요일 본회의 개최 방침,
    → 윤 전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했던 법안들 중심으로 순차 처리 계획.
  • 주요 처리 예정 법안:
    • 노란봉투법 (노조 손배 제한),
    • 양곡관리법 개정안 (쌀 의무매입제),
    • 상법 개정안 (이사의 주주충실의무),
    • 형소법 개정안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정지),
    • 공직선거법 개정안 (이재명 대통령 공소사실 무력화) 등.

⚠️ 국민의힘은 이 중 일부 법안을 ‘방탄 법안’으로 규정.


🧩 분석 및 시사점

  • 정치보복 vs 적폐청산 프레임 충돌 본격화.
  •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특검 수사 착수 시 정국 혼란 심화 가능성 큼.
  • 그러나 일부 국민의힘 의원들이 협조 가능성을 보인 만큼
    정무적 협상 창구도 살아있음.
  • 민주당, 지방선거·조직개편을 앞두고 여론과의 긴장 속 균형 필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