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아미코젠(AmicoGene)**이 개발한 차세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기술이 비임상 단계에 돌입함으로써, 글로벌 16조 원 규모 시장에 본격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전환점을 알리는 내용입니다. 아래에 핵심 내용을 요약 및 분석해 드립니다:
🧬 [요약] 아미코젠, 히알루로니다제 비임상 착수… “16조 시장 겨눈다”
🔹 핵심 포인트 요약
항목내용
📌 제품명 | 신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7에서도 작용 가능) |
🚀 진행 단계 | 비임상 시험 돌입 (동물 효능시험) |
🧪 주요 특성 | 중성 pH에서도 높은 활성, 열안정성, 낮은 면역원성 |
🔍 차별점 | 기존 PH20 계열과 구조·서열 완전 차별화 |
🔓 특허 상황 | 국내 특허 출원 완료 (출원번호: 10-2025-0043723), 글로벌 특허 포트폴리오 확장 중 |
📈 시장 전망 | 글로벌 시장 16조 원 규모 (2036년), 연평균 성장률 9% |
🤝 사업 전략 | 글로벌 기술이전, CDMO, SC 제형 플랫폼 구축 추진 |
🔬 히알루로니다제란?
- **피부 또는 피하 조직 내 히알루론산(HA)**을 분해하여 조직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보조 효소.
- 피하주사(SC) 제형에서 약물 흡수 속도와 범위를 높이는 데 필수적.
- 정맥주사(IV) 대비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
🔥 아미코젠 기술의 차별점
기존 제품 (PH20, 美 H사 등)아미코젠 신규 효소
면역원성 유발 우려 있음 | 낮은 면역원성 |
낮은 열안정성 | 탁월한 열안정성 |
반복 투여 한계 | 고용량·반복투여 가능성 |
글로벌 특허 장벽 多 | FTO 기반 독자 기술 확보 |
pH 5~6에만 작동 | 중성 pH(pH7)에서도 작동 |
→ 상업화·임상·특허 분쟁 회피 측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셈
🌍 글로벌 시장 전망
- 2024년 시장규모: 약 1조 4600억 원
- 2036년 시장규모: 약 16조 2500억 원
- 연평균 성장률: 9% 이상
- 주요 응용: 항암제, 면역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등 피하주사 제형 확산과 연계
🧭 아미코젠의 다음 행보
- 전임상→임상 진입 준비
- 글로벌 기술이전(L/O) 협상
-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 확대
- 기존 배지·레진 사업과의 시너지 확보
- SC 제형 플랫폼 구축 통한 통합 솔루션 제공
🗣️ 대표 코멘트 (박철 대표)
“비임상은 기술력 검증의 첫 관문. 안전성과 효능 검증을 통해 전임상, 임상 진입과 글로벌 공동개발 등 다양한 사업 전략을 본격 추진할 것.”
🧩 한 줄 평가
“PH20의 한계를 넘은 아미코젠의 도전, 기술·시장·특허에서 모두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
아미코젠 협력사 라이산도, 스프레이형 아토피 피부질환 치료제 글로벌 출시 준비
- 제품 개요
-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스프레이형 아토피 치료 솔루션
- 세계 최초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자연 균형 유지하는 제품
- 기존 치료제와 달리 안전성 높고, 비스테로이드성 대안 치료제
- HRIPT 안전성 테스트에서 부작용 전무
- 더블 블라인드 임상시험서 가려움증과 홍반 유의미 개선
- 영국 소비자 평가에서 80% 이상 재구매 의사
- 시장 및 출시 계획
- 미국 국립 아토피 피부염 협회(NEA) 인증 진행 중
- 2025년 4분기 미국 시장 최종 출시 목표
- 한국 및 아시아 시장 내 상용화 주도 예정
- Procter & Gamble, Johnson & Johnson, Unilever 출신 전문가 주도 유통 전략
- 아토피 피부염 치료 글로벌 시장 약 13조 원 규모, 연평균 10% 이상 성장 예상
- 아미코젠 입장
- 라이산도와 CDMO 및 전략적 파트너십 지속
- 안전하고 효능 좋은 혁신 치료제로 자리매김 기대
- 내성 걱정 없고 장기 사용 부작용 최소화된 만성 피부질환 완화 솔루션
해당 제품은 글로벌 아토피 치료 시장에서 미충족 수요를 해소할 혁신적 치료제로서, 미국과 아시아 시장에서의 상용화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미화원의 월급 명세서, "야근 92시간에 652만원?"…환경미화원 급여, 정말 가능한가 (30) | 2025.07.16 |
---|---|
**비트코인(BTC)**은 2025년 7월 기준으로 12만 달러 돌파를 목전에 둔 초강세 흐름, 미국 하원에서 가상화폐 관련 주요 3개 법안 (35) | 2025.07.16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MS와 제휴 (11) | 2025.07.16 |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설립 2년 만에 기업가치 최대 275조 원(2000억 달러)**에 도달하면서 글로벌 AI 시 (27) | 2025.07.13 |
미국이 **사상 최대 관세 수입(272억 달러)**을 기록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중심 경제전략이 단기적으로는 재정에 긍정적인 효과 (19)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