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생가
주소 : 明东村, 龍井, 延邊朝鮮族自治州
윤동주 생가는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로 유명한 우리민족의 시인 윤동주의 생가이다. 중국 지린성 옌벤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지신진 명동촌에 있다. 윤동주 생가에서 100여미터 거리에 있는 민족정신을 구현하던 명동학교 옛터가 있다.
윤동주는 독립투쟁의 일선에서 장렬하게 산화한 투사도 아니었고, 당대에 이름이 널리 알려진 시인도 아니었다. 그러나 인간을 떠나서 도를 닦는다는 것은 한낱 오락에 불과하고, 공부나 시도 생활이 되어야 한다며, 자신의 시와 삶을 일치시키려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그의 시 정신은 어느 투사 못지 않게 치열한 바가 있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 걸어가야겠다"는 <서시>의 구절처럼, 그는 모진 풍파 속에서도 독립한 나라를 희망하는 마음으로 죽음의 나락에 빠진 민족을 사랑했고, 자신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며 한 몸을 민족의 제단에 제물로 바쳤다.
윤동주생가는 1981년 무렵 허물어지게 된 것을 1993년 용정시에서 관광지역으로 지정하여 복원해 놓았다.
위키원 자료
명동촌
명동촌 마을은 앞이 훤히 트인 곳으로 끝없는 논밭이 이어져 있었고 더 멀리는 약간 경사진 구릉지였다. 이 마을은 조선 회룡으로부터 두만강을 건너 삼합진과 지신진 두 개의 지역의 경계지역으로 용정으로 가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다.
명동(明東)이란 이름은 "조선을 밝게 하자"는 뜻으로 1881년 청나라 정부에서 연변에 대한 통금령을 해제한 뒤 조선이주민들이 정착한 마을이다. 1899년 김약연을 중심으로 한 전주 김씨 31명, 김하규를 중심으로 한 김해김씨 63명, 문병규를 중심으로 한 문씨 가문 40명, 남종구씨 외 7명과 토지 구입 등으로 먼저 와 있던 김항덕 씨 등 모두 142명이 초기에 정착하여 조선족 마을로 형성된 곳이다. 이곳에 윤동주의 할아버지인 윤하연 일가 18명이 정착하게 되어 윤동주는 이 시골마을에서 태어나게 된다.
위키원 자료
윤동주 시인
윤동주 시인은 1917년 12월 30일, 만주 북간도의 명동촌(明東村)에서 태어났으며, 기독교인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아버지는 윤영석(尹永錫), 어머니는 김룡(金龍)이다. 1931년(14세)에 명동(明東)소학교를 졸업하고, 한 때 중국인 관립학교인 대랍자(大拉子) 학교를 다니다 가족이 용정으로 이사하자 용정에 있는 은진(恩眞)중학교에 입학하였다(1933). 1935년에 평양의 숭실(崇實)중학교로 전학하였으나, 학교에 신사참배 문제가 발생하여 폐쇄당하고 말았다. 다시 용정에 있는 광명(光明)학원의 중학부로 편입하여 거기서 졸업하였다.
1941년에는 서울의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 문과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에 있는 릿쿄[立敎]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다가(1942), 다시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로 옮겼다(1942). 학업 도중 귀향하려던 시점에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1943. 7), 2년형을 선고받고 후쿠오카(福岡) 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그러나 복역중 건강이 악화되어 1945년 2월에 생을 마치고 말았다. 유해는 그의 고향 용정(龍井)에 묻혔다. 한편, 그의 죽음에 관해서는 옥중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주사를 정기적으로 맞은 결과이며, 이는 일제의 생체실험의 일환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타계하고 말았으나, 그의 생은 인생과 조국의 아픔에 고뇌하는 심오한 시인이었다. 그의 동생 윤일주(尹一柱)와 당숙인 윤영춘(尹永春)도 시인이었다. 그의 시집은 본인이 직접 발간하지 못하고, 그의 사후 동료나 후배들에 의해 간행되었다. 그의 초간 시집은 하숙집 친구로 함께 지냈던 정병욱(鄭炳昱)이 자필본을 보관하고 있다가 발간하였고, 초간 시집에는 그의 친구 시인인 유령(柳玲)이 추모시를 선사하였다.
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여 첫 작품으로 <삶과 죽음> , <초한대>를 썼다. 발표 작품으로는 만주의 연길(延吉)에서 발간된 《가톨릭 소년(少年)》지에 실린 동시 <병아리>(1936. 11), <빗자루>(1936. 12), <오줌싸개 지도>(1937. 1), <무얼 먹구사나>(1937. 3), <거짓부리>(1937. 10) 등이 있다. 연희전문학교에 다닐 때에는 《조선일보》에 발표한 산문 <달을 쏘다>, 교지 《문우(文友)》지에 게재된 <자화상>, <새로운 길>이 있다. 그리고 그의 유작(遺作)인 <쉽게 씌어진 시>가 사후에 《경향신문》에 게재되기도 하였다(1946).
그의 절정기에 쓰여진 작품들이 1941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던 해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으로 발간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의 자필 유작 3부와 다른 작품들을 모아 친구 정병욱과 동생 윤일주에 의해 사후에 그의 뜻대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으로 정음사(正音社)에서 출간되었다(1948). 그의 짧은 생애에 쓰인 시는 어린 청소년기의 시와 성년이 된 후의 후기 시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청소년기에 쓴 시는 암울한 분위기를 담고 있으면서 대체로 유년기적 평화를 지향하는 현실 분위기의 시가 많다. <겨울> <버선본> <조개껍질> <햇빛 바람> 등이 이에 속한다. 후기인 연희전문학교 시절에 쓴 시는 성인으로서 자아성찰의 철학적 감각이 강하고, 한편 일제 강점기의 민족의 암울한 역사성을 담은 깊이 있는 시가 대종을 이룬다. <서시> <자화상> <또 다른 고향> <별 헤는 밤> <쉽게 씌어진 시> 등이 대표적인 그의 후기 작품이다.
위키원 자료
윤동주
윤동주(1917-1945)는 일제 강점기 한국의 저항 시인이자 독립운동가로, 그의 시는 한국 문학사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는 1917년 중국 만주 지역의 연변조선족자치주 룽징(용정)에서 태어났으며, 일제 식민 통치하의 조국을 떠나 만주와 일본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습니다.
윤동주의 시는 주로 식민지 현실 속에서의 고뇌와 슬픔, 그리고 조국의 독립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서시」, 「별 헤는 밤」, 「쉽게 씌어진 시」 등이 있으며, 특히 「서시」는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민족의 자긍심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를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는 일본 유학 중이던 1943년 독립운동 혐의로 체포되어 1945년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였습니다. 그의 시는 죽음 후에 발간된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후 한국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저항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윤동주의 시는 그의 짧은 삶 동안 조국과 민족을 향한 애틋한 사랑과 고민을 깊이 있게 담아내어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윤동주의 「서시」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일제 강점기 속에서 조국과 민족을 향한 시인의 깊은 애정과 자기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이 시는 죽음과 희생을 초월한 깨끗한 삶의 자세를 노래하고 있으며, 시인의 청렴하고 순수한 마음가짐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시의 첫 구절은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로 시작되며, 이 문구는 윤동주가 자신의 삶을 어떠한 자세로 살고자 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서시」는 윤동주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그의 문학적 정신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윤동주 시인은 일제 강점기 시기에 활동한 한국의 대표적인 저항 시인입니다. 그의 작품들은 주로 일제의 압박 속에서 민족적 자존감을 지키려는 노력과, 인간의 본질적 고뇌를 표현한 것이 특징입니다.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에 북간도 명동촌에서 태어나, 일본 유학 시절부터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는 시를 써왔습니다. 그의 대표작 **「서시」**는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서문으로, 하늘을 우러러 부끄럼 없는 삶을 살고자 하는 강렬한 소망을 담고 있습니다. 이 시는 윤동주의 정신적 자세와 그가 느낀 시대적 고뇌를 잘 보여줍니다.
윤동주는 일본 유학 중 독립운동 혐의로 체포되어 1945년 2월 16일,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27세의 나이로 옥사하였습니다. 그의 시들은 사후에 발간되어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도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명동학교
명동학교는 1911년 여학부를 설치하고 연변에서 처음으로 근대여자교육을 했다. 당시 명동촌을 일군 사람들은 구한말 조선의 실학파들로 벼슬길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글을 모르면 남에게 천시당한다"는 생각으로 자녀들 교육에 힘썼다. 그래서 초기에 이들은 집단으로 구입한 토지 가운데 양지바르고 좋은 땅의 10분의 1을 학교부지로 내놓아 이곳에 명동학교를 세워 민족교육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명동학교는 1906년 용정에 설립되었던 서전서숙의 민족정신을 이어받아 1908년 4월 27일 명동촌 일대 여러 서당들을 통합하여 세운 근대 민족적 교육기관이다. 명동학교는 조선족 청소년들에게 근대지식의 전수와 더불어 민족의식과 항일사상을 교육시켜 그들로 하여금 문무를 겸비한 우수한 민족의 인재로 성장하게 한 밑거름이 된 학교다. 이 무렵 연변 각지에는 연변을 항일기지로 삼고자 각 곳에 사립학교를 세우게 되는데 창동학원, 정동중학, 길동학교 등이 당시 연변지역의 명망 높은 항일학교였다. 그러나 1907년 일제는 "조선인을 보호한다"는 구실로 용정에 조선통감부간도파출소를 두어 당시 용정 일대에 많은 조선인 학교들을 감시하고 폐교 시키는 일을 자행했다. 서전서숙 등 당시 민족교육에 힘쓰던 학교들이 속속들이 폐교하는 운명을 맞이하는 것도 이 무렵이다.
이후 명동촌은 간도국민회건립 이후 남부총회의 본부가 되었으며 명동학교는 총회본부사무실로 활용하였다. 총회에서는 <독립신문>. <우리들의 편지>를 발간하였고 <청년>, <자유의 종>등의 신문도 만들어 민중들에게 항일 민족 사상을 드높이게 하였다.
위키원 자료
中 윤동주 생가 보수공사 마치고 31일 재개장
윤동주 시인의 생가가 중국 옌볜조선족자치주 룽징(용정)시에서 2023년 10월 31일에 보수공사를 마치고 재개장했습니다. 생가는 지난 7월 폐쇄된 바 있으며, 당시에는 폐쇄 이유나 재개방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습니다. 이번 보수공사 후 재개장을 통해 윤동주 생가는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관람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용정시는 윤동주 시인의 생가를 새롭게 단장하고, 재개장과 함께 새로운 생가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이 생가는 일제 강점기 시기의 윤동주 시인의 삶과 작품을 기리는 중요한 장소입니다. 이번 재개장은 윤동주 시인의 업적과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광양시, 광복절 앞두고 매천 황현·시인 윤동주 역사여행 추천
매천황현생가,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 등
광양시는 광복절을 앞두고 매천 황현과 윤동주를 기리기 위해 이들의 역사적 장소를 방문하는 여행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매천 황현은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과 문헌 기록으로 명성을 떨친 인물로, 그의 생가는 광양 봉강면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그가 남긴 2500여 수의 시와 방대한 기록물을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그의 초상화와 절명시 등을 전시하는 매천역사공원이 함께 조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은 진월면 망덕포구에 위치해 있으며, 윤동주가 친필로 쓴 시를 보관한 장소로 유명합니다. 이 가옥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원본이 보존된 역사적 장소로, 윤동주의 시혼과 그가 처한 시대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이곳에는 윤동주와 정병욱의 우정을 기리는 조형물과 '별헤는다리'가 마련되어 있어 윤동주의 시와 그의 삶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역사적 장소들은 매천 황현과 윤동주의 정신을 기리며,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순간들을 재조명하는 의미 있는 여행지로 추천됩니다.
윤동주유고보존가옥
전남 광양시 진월면 망덕길 249
조국을 빼았기는것은 최악이다
윤동주 27세에 마루타 실험에 죽었다
안타깝다
조국을 잘 지키자
친일매국노를 척결하자
일본은 사과하고 반성하라
새로운 관계의 시작은 거기서 부터 출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