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TSMC, 연이은 지진 피해…웨이퍼 6만장 손상
주요 내용 요약
- 연속적인 지진 발생:
- 2025년 1월 24일부터 26일까지 대만 자이시 인근에서 규모 5.3~5.7의 지진이 사흘 연속 발생.
- 대만은 태평양의 **'불의 고리'**에 위치해 있어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임.
- TSMC 공장 안전 확인:
- TSMC는 지진 발생 직후 공장 직원들을 긴급 대피시켰고, 공장 안전성을 확인한 후 모든 공장이 정상 가동 중이라고 발표.
- TSMC 시설은 최대 규모 7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구조적으로는 큰 피해가 없었음.
- 웨이퍼 손상:
- 그러나 6만 장의 웨이퍼가 손상된 것으로 보도됨. 웨이퍼는 반도체 집적회로 제작의 핵심 재료로, 이번 손상은 생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 있음.
- 지난해 지진과의 유사성:
- 2024년 4월에도 7.2 규모의 강진이 발생해 TSMC 공장이 일시 중단되고 일부 웨이퍼가 손상된 바 있음.
- 당시 피해는 약 9200만 달러였으며, 장기적인 운영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고 전해짐.
분석 및 시사점
- 지진에 의한 리스크 관리:
- TSMC는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설 설계와 긴급 대응 체계를 잘 구축한 것으로 보임. 이번 지진도 피해를 최소화했으나, 웨이퍼 손상은 비용과 일정 지연을 초래할 수 있음.
- 반도체 생산의 중요성:
- 웨이퍼 손상은 반도체 생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차질이나 납기 지연이 우려될 수 있음. 그러나 TSMC는 이미 지진에 대비한 인프라를 구축했기 때문에, 장기적인 생산과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
- 대만의 지진 리스크:
- 대만의 지진 빈도를 고려할 때, TSMC는 향후 추가적인 지진에 대비해 시설 강화와 위기 대응 전략을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 TSMC의 산업적 영향력:
- TSMC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으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장기적인 생산 안정성이 글로벌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은 반도체 업계와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주제가 될 가능성.
결론
TSMC는 지진에 대한 강력한 대비책을 갖추고 있지만, 웨이퍼 손상과 같은 사고는 반도체 생산에 단기적인 리스크를 안겨줄 수 있습니다. 대만의 지진 리스크를 고려하여, 향후 추가적인 시설 강화와 재해 대응 체계가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12) | 2025.01.28 |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24년 역대급 실적 (15) | 2025.01.28 |
메타, ″올해 86조∼93조원 투자″ 등 AI 인프라 구축에 속도, 저커버그, 'AI의 결정적인 해'가 될 것 강조 (9) | 2025.01.26 |
중국에서 테슬라와 현대·기아차가 대규모 리콜 실시, 테슬라 120만대, 현대·기아차 8만6000대 (10) | 2025.01.26 |
‘HBM 프리미엄’ SK하이닉스 시총 ‘삼성전자 절반’ 넘어섰다…역대 최고, 1년 새 양사 시총 격차 29%P 감소, 22일 기준 SK하닉 16 (22)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