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매도 재개 첫날, 증시 급락…주요 원인과 전망. 코스피, 3% 약세, 관세 우려

산에서놀자 2025. 3. 31. 14:02
728x90
반응형
SMALL

공매도 재개 첫날, 증시 급락…주요 원인과 전망

📉 공매도 재개와 증시 하락

  • 공매도 전면 재개: 2023년 11월 6일부터 전면 금지됐던 공매도가 약 1년 5개월 만에 재개됨.
  • 시장 반응: 코스피 -2.18%, 코스닥도 하락세.
  • 외국인 대규모 매도: 코스피에서 5120억 원, 코스닥에서도 656억 원 순매도.

📌 주요 하락 요인

1️⃣ 공매도 충격

  • 기관과 외국인의 공매도 물량이 쏟아지며 시장 변동성 확대.
  • 특히 반도체, 2차전지 등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세.

2️⃣ 미국 관세 리스크

  •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를 시사하며 무역 불확실성 증가.
  • 한국 증시가 수출 중심 경제라 글로벌 무역 환경에 민감한 영향.

3️⃣ 섹터별 하락

  • 반도체: 삼성전자 -2.33%, SK하이닉스 -3.46%
  • 2차전지: 삼성SDI -4.36%, LG화학 -4.05%
  • 유통/화학/의료: 업종별 2~3%대 하락

🔍 앞으로의 증시 전망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 KB증권 등 주요 증권사들이 삼성전자 목표주가 상향 조정.
  •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 예상 → 하반기 실적 회복 기대.

공매도 영향 단기적일 가능성

  • 과거 사례를 보면 공매도 재개 초기에는 변동성이 크지만 이후 안정화.
  • 수급이 정리되면 저가 매수세 유입 가능.

대외 리스크 변수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여부.
  •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 변화.
  • 글로벌 금리 동향과 유가, 환율 움직임.

💡 투자 전략

  •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 방어적 투자 필요
  • 반도체·2차전지 등 저점 매수 기회 고려
  • 공매도 재개 후 일시적 조정 → 중장기적 수급 개선 기대

👉 공매도 충격이 크지만, 반도체 업황 개선과 수급 안정화 기대감을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는 회복 가능성이 높아 보임.
 
 
 
 
 
 
 
 
 
 
 
 
코스피, 3% 약세
2025년 3월 3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우려로 인해 코스피 지수가 3% 이상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오후 1시 27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78.00포인트(3.05%) 하락한 2479.98을 기록하며 장중 2479.67까지 떨어졌습니다.
주요 원인

  1. 관세 우려: 트럼프의 관세 부과 발표가 경기 침체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위험 자산을 회피하려는 투자 심리가 확산되었습니다.
  2. 공매도 재개: 공매도 재개로 2차전지와 전력기기 관련 업종 및 종목들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 우려가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3. 업종별 약세: 대부분의 업종에서 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의료·정밀 업종이 4.51% 하락하고, 전기·전자와 기계·장비 업종도 각각 4.34%, 4.13% 내렸습니다.

대형주 및 중형주
대형주와 중형주는 각각 3.13%, 2.42% 하락하는 반면, 소형주도 2.07% 내림세를 보였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도 대부분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3.82%, SK하이닉스는 4.06% 하락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7.30% 급락했습니다.
경기 방어 업종
경기 방어적인 성격을 가진 업종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재원 연구원은 음식료와 유틸리티 업종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결론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한국 주식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히 위험 자산을 회피하려는 투자 심리가 확대되었습니다. 향후 실제 관세 발효 여부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