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김정은 오판할 수도"…美 '중국 견제' 올인에 韓 안보 위기, 왜?, 중국의 대만 침공시 주한미군 中 대응에 투입할 수도…주한미군 빠진

산에서놀자 2025. 3. 31. 22:37
728x90
반응형
SMALL

미국이 중국 견제에 군사 역량을 집중하면서, 한반도의 안보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핵심 내용 요약

  1. 미국의 새로운 국방 전략
    •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중국의 대만 침공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
    •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다른 전장(한반도 등)에서는 위험을 감수할 수도 있다"**는 내용이 포함됨.
    • 주한미군이 대만 대응에 투입될 가능성이 제기됨.
  2. 한국 안보 공백 우려
    • 주한미군이 중국 견제에 집중하면, 북한이 이를 오판하고 도발할 가능성이 커짐.
    • 강준영 교수(한국외대): "주한미군 이탈로 김정은이 대남 도발을 감행할 수도 있다."
    • 중국이 대만을 해상 봉쇄하면 한국의 원유 수송로 차단 위험도 있음.
  3. 북한의 군사력 강화
    • 북한군 약 1만2000명이 러시아 파병, 실전 경험 축적.
    • 우크라이나에서 4000여명 사상, 생존 병력이 북한으로 복귀 시 우리 후방 침투 가능성도 우려됨.
  4. 한국의 대응 전략
    • 미국과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상 필요 (연간 100억 달러 요구 가능).
    • 핵무장 잠재력 확보 논의 필요 (유사시 핵개발 가능하도록 준비).
    • 원자력 추진 잠수함(SSN) 도입 필요성 대두 →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논의 필요.
    •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를 통해 중국 해상 군사력에 대응해야 함.

🔻 전망 및 변수

  • 트럼프 2기 정부의 최종 정책 방향
  • 주한미군 역할 축소 여부
  • 북한의 러시아 파병 병력 복귀 이후 군사 동향
  • 한미일 협력 vs.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

한국은 미국과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자체 군사력 증강 논의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