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선거대책위원회가 국민연금의 가상자산 직접투자 체계 구축을 공약

산에서놀자 2025. 5. 18. 09:05
728x90
반응형
SMALL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선거대책위원회가 국민연금의 가상자산 직접투자 체계 구축을 공약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비판과 반박, 그리고 정책적 정당화 논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 핵심 요약

🔷 공약 핵심

  • 국민연금이 암호화폐(가상자산)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공약 발표
  • 가상자산의 제도화 및 금융자산으로의 인정 → 이를 기반으로 연기금도 투자 가능하게 하겠다는 계획

🔍 배경 및 논쟁

🧱 비판 제기

  • 가상자산은 높은 변동성과 투기성 자산으로 간주
  • 국민연금이 이런 자산에 투자하는 건 위험한 도박이라는 반발

🧷 이재명 선대위의 반박 논리

  • 이미 국민연금은 블랙록, 코인베이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등에 간접적으로 투자 중
  • 전통적 포트폴리오 이론(Modern Portfolio Theory)에 기반한 분산 투자 전략
  • 전 세계 연기금도 가상자산에 직·간접적으로 투자 중

🌍 글로벌 사례 인용

기관/국가투자 내용
🇸🇬 싱가포르 테마섹 블록체인·Web3 인프라
🇦🇺 호주 AMP 연기금 비트코인 직접 투자
🇺🇸 미시간주 연기금 비트코인 투자
🇺🇸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 비트코인·이더리움 ETF 및 관련 기업
🇬🇧 영국 카트라이트 자산의 3%를 비트코인에 할당
🇺🇸 블랙록 디지털자산 ETF 출시 및 토큰화 플랫폼 운영
 

※ 국민연금은 블랙록·코인베이스·마이크로스트레티지 등에 이미 투자 중


⚙️ 정책 방향

  1. 가상자산을 제도권에 편입
    •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현물 ETF 도입
    • 가상자산을 적격 금융자산으로 인정
  2. 국민연금의 직접 투자 허용
    • 국내외 규제 기준을 반영한 투자 체계 마련
    • 입법 및 감독 체계 개선 추진

🧠 분석 및 평가

✅ 장점

  • 분산 투자 효과: 기존 주식·채권과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으로 리스크 헷지 가능
  • 미래 성장 산업 참여: Web3·블록체인 기술 생태계에 투자해 잠재 수익 확보
  • 국제 기준 부합: 해외 연기금 투자 사례와의 정합성

❌ 우려

  • 높은 가격 변동성 → 국민 노후자금 위험 노출
  • 법적·제도적 불확실성 → 규제 리스크 존재
  • 국민 여론 분열 가능성 → ‘투기냐, 투자냐’ 프레임 논쟁

🧭 결론

이재명 후보 측은 국민연금의 가상자산 직접투자를 "무모한 베팅이 아닌 과학적 투자전략"이라고 강조하며, 글로벌 투자 흐름에 뒤처지지 않는 금융 혁신과 제도화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다만 국민연금의 사회적 신뢰성과 안정성을 고려할 때, 이 공약은 상당한 정책 논쟁과 여론전을 동반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