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다음은 2025년 6월 13일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의 ‘밥상 물가 안정 경청 간담회’ 내용 정리입니다:
🟥 핵심 주제: “불투명한 유통구조 고쳐야”
🔸 김민석 총리 후보자 발언 요지
- “이제는 과거처럼 가격 통제식 규제는 한계”
- 유통 과정의 불투명성 개선이 핵심 → "비용을 국민에 전가하는 구조는 비합리적"
- 정부-지자체-기업 간 협력 강조: 가격 안정은 공공-민간 공동 대응과제
- “직장인 든든한 점심” 정책 제안 → ‘천원의 아침’, ‘경로당 점심’과 함께 3대 밥상 정책 구상
📌 현장 발언 주요 이슈별 정리
🛒 유통 구조 및 가격 투명성
항목주요 내용
문제 제기 | 유통 과정의 정보 부족으로 소비자에게 불필요한 비용 전가 |
해법 제안 | 거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제도 개편 및 협력 모델 마련 필요 |
📦 원자재 수입 및 가격 반영 시차
항목내용
업계 입장 | 원재료 수입 계약은 6개월~2년 전 체결 → 국제 시세 하락 반영에 시차 존재 |
소비자 오해 | “지금 원가가 내려갔으니 곧 가격이 떨어져야 한다”는 기대와 현실 간 괴리 존재 |
🍚 배달 수수료 문제
항목내용
업계 입장 | 배달 수수료가 외식 가격 상승의 핵심 요인 |
구조적 문제 | 플랫폼이 과도한 이윤을 취함, 자영업자는 실질 이익 적음 |
김 후보자 평가 | 윤석열 정부의 ‘자율 규제’는 사실상 실패 → 입법적 대응 필요성 제기 |
💵 세제 지원 · 국산 원재료 인센티브
항목내용
세금 부담 | 수입 원재료에 부과되는 관세·세금 부담 완화 요청 |
국산 활용 | 국산 원재료는 비싸 사용 곤란 → 보조금·인센티브 필요 제안 |
✅ 종합 정리
김민석 총리 후보자는 가격 자체보다는 가격 구조의 투명성, 유통 단계의 개혁, 그리고 배달 수수료 규제 보완을 중심으로 식품 물가 안정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업계는 원가 상승 시차, 배달 플랫폼 문제, 세제 지원 필요성을 호소했으며, 정부는 제도적 대안 검토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한 교수가 수업 중 중국과 중국인을 혐오하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논란이 확산 (18) | 2025.06.13 |
---|---|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직접적인 군사 충돌, 국제 유가가 급등. 이란, 6월 15일 예정된 미국과의 6차 핵 협상 포함해 협상 잠정 중단 (45) | 2025.06.13 |
노랑통닭, 필리핀 졸리비 자회사에 매각 임박 (15) | 2025.06.13 |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 예비비 259억 의결 (13) | 2025.06.13 |
한 달도 안 남은 한미 관세협상, 이재명 대통령의 신중론은 통할까? (41) | 202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