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총급여(연봉) 상위 0.1%에 속하는 직장인들은 평균 14억원 가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의 평균 4억6268만원보다 3배 가량 많았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은 국세청의 '2022년 시도별 근로소득 신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고연봉자들도 지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기준 상위 0.1%의 총급여(연간 근로소득에서 식대 등 비과세소득을 뺀 급여)는 9억8798만원이었다.
서울에서 근로소득 상위 0.1%에 해당하는 직장인은 6213명이었다. 이들의 총급여는 평균 13억8817만원이었다.
서울에 이어 제주(10억605만원· 216명), 경기(9억4952만원· 4832명) 순이었다.
상위 0.1%의 총급여가 가장 낮은 곳은 강원(463명) 4억6268만원을 받아 서울보다 3배가량 적었다.
세종(4억7223만원·166명), 전북(5억374만원·536명)도 서울의 3분의 1 정도였다.
전국 총급여 상위 20%와 하위 20% 간 격차는 15.1배로 나타났다.
격차가 가장 큰 곳은 서울이었다.
서울 상위 20%는 평균 1억1995만원을 받아 667만원을 받는 데 그친 하위 20%보다 무려 18배나 많았다.
부산(15.5배)과 경기(14.6배)도 격차가 심한 가운데 소득 격차가 가장 낮은 곳은 세종으로 9.6배였다.
충북(11.8배), 전남(11.8배), 제주(11.9배) 등도 서울에 비해 소득 격차가 비교적 적었다.
부자될려면 서울 가서 살아야 한다
경쟁도 치열하고 새로운 도전가능성도 높다
낙오자는 상실감이 클것 같다
세종은 평균적인 삶은 사는것 같다
대부부이 공무원이라 격차가 적은것 같다
소득은 높은편이고 격차는 적어 상실감이 적어
가장 행복할것 같다
출산율도 높은 편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내일부터 제한된 주식대여 금지 (58) | 2024.01.28 |
---|---|
일손 부족 일본…졸업 예정자 86% 취직 내정돼 (87) | 2024.01.28 |
한국 경제성장률 25년 만에 일본에 밀릴 듯 -日매체 (69) | 2024.01.26 |
中,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 시사… 증시 부양 이어 부동산도 (63) | 2024.01.26 |
한국인, 하루에 밥 한 공기 반 먹어…지난해 쌀 소비량 역대 최저 (40) | 2024.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