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올해 상반기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가 400만 명을 넘어

산에서놀자 2024. 7. 21. 20:44
728x90
반응형
SMALL

올해 상반기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가 400만 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자료에 따른 것으로, 1999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비경제활동인구란 만 15세 이상의 인구 중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일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하지 않거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

  • 현재 상황: 올해 상반기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405만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만2천명 증가했습니다. 전체 비경제활동인구는 2022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대졸 이상의 비경제활동인구는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전년 대비 변화: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2021년 상반기 코로나 팬데믹 동안 처음으로 4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큰 폭으로 줄어들었으나,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에서 대졸 이상 비중이 25.1%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25%를 초과했습니다.

대졸 비경제활동인구의 특징

  • 연령대: 대졸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세는 주로 청년층(15∼29세)에서 두드러집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이 연령대의 월평균 비경제활동인구가 59만1천명으로 지난해보다 7천명 증가했습니다. 이들은 주로 도소매나 사업시설 관리 업종에서 일하다가 구직 시장을 떠난 경우가 많습니다.
  • 직업군 및 종사상지위: 대졸 비경제활동인구는 사무직, 단순노무직, 임시직의 비중이 높습니다. 이들은 직업군과 종사상지위 측면에서 보통 높은 전문성이나 기술을 요구하지 않는 분야에서 일했던 경향이 있습니다.

경제적 및 사회적 영향

  • 고학력자와 구직 시장: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는 일자리를 잃더라도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지지 않고 구직 시장에 남아 실업자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덜 전문화된 직종에 종사하는 대졸자는 일자리 부족이나 기타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사회적 영향: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세는 고학력자의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노동 시장에서의 고용 불안정성을 나타내며, 특히 청년층에서 더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경제적 불안정성과 사회적 불만을 초래할 수 있는 이 현상은 향후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부분으로 지적됩니다.

결론

대졸 이상의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는 현상은 한국 사회에서 고학력자의 취업난과 구직 시장의 변화에 대한 중요한 신호입니다. 이 현상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일자리 부족과 직업 안정성 문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경제 정책과 노동 시장의 변화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정부는 적극적으로 청년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