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24년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 미국 내 부유층과 일반인들 사이에서 해외 투자이민(골든비자)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골든비자 열풍의 주요 원인
- 정치적 불확실성
- 트럼프의 대통령 재선으로 인해 민주당 성향 부유층 일부가 새로운 정책 변화나 정치적 불안정에 대비해 해외 이주를 검토.
- 플랜 B 확보
- 실제로 이민을 실행하는 비율은 낮지만, 외국에서 거주할 수 있는 옵션을 보험처럼 마련하려는 경향이 강함.
- 주요 목적: 새로운 시민권 확보 및 해외 거주 가능성.
- 기존 투자이민 국가의 인기 상승
-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기존 신흥국 중심의 골든비자 수요에서 미국인의 비중이 대폭 증가.
- 헨리 앤드 파트너스와 같은 컨설팅 기업에 따르면 골든비자 문의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통계 및 사례
- 헨리 앤드 파트너스: 대선 직전 한 주간 골든비자 문의가 400% 폭증.
- 아턴캐피털: 대선 결과 발표 직후 하루 만에 100건 이상 문의.
- 유튜브 및 소셜미디어:
- 유튜브에서 "미국을 떠나기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나라"라는 영상은 50만 뷰를 기록.
- 레딧에서는 이민 관련 게시물에 1300개 이상의 댓글이 달리는 등 온라인에서도 큰 반향.
골든비자의 변화된 패턴
- 주된 문의 지역: 과거에는 신흥국 부유층의 특권으로 여겨졌던 골든비자가 이제는 미국인들 사이에서도 일반적인 관심사로 부상.
- 경제적 계층의 다양화: 부유층뿐 아니라 중산층과 경제적으로 덜 풍족한 계층도 온라인을 통해 해외 이주 방법을 모색.
향후 전망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와 불확실성은 골든비자와 같은 투자이민 수요를 더욱 부채질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글로벌화된 금융 및 시민권 시장에서 미국인의 비중이 계속해서 커질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이민 컨설팅 업체들에게 새로운 시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불법이민자 추방에 군대 동원"...트럼프 "사실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불법 이민자 대규모 추방을 위해 군대를 동원할 계획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SNS를 통해 보수 활동가 톰 피턴의 주장을 인용하며 "사실이다!(True!)"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했습니다.
주요 내용
- 추방 정책 강화
- 미국 내 1100만 명의 불법 이민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추방 작전을 계획 중.
- 이를 위해 국가 비상사태 선포와 군 자원의 활용 방안을 검토.
- 적성국국민법 활용 가능성
- 트럼프는 1798년 제정된 적성국국민법을 추방 정책에 적용할 의사를 밝혔습니다.
- 해당 법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계 미국인 수용소 운영에 사용된 전례가 있습니다.
- 군 자산 및 예산 활용
- 트럼프의 참모진은 국가 비상사태 권한을 통해 의회 승인 없이 군 예산을 전용하는 방안을 고려 중.
- 이는 트럼프가 대통령 첫 임기 중 국경 장벽 건설에 활용했던 방법과 유사합니다.
- 수용소 건설 계획
- 백악관 부비서실장 스티븐 밀러는 대규모 이민자 수용 시설을 건설해 추방 과정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이를 통해 서류 미비 이민자들이 자발적으로 출국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방침.
논란과 전망
- 인권 우려:
추방 정책이 실행될 경우 대규모 수용소 운영과 군 동원이 불법 이민자들의 인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과거 적성국국민법 적용 사례는 인종적, 민족적 차별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정치적 반발:
민주당과 이민자 권리 옹호 단체들은 트럼프의 강경 정책이 헌법적 권리를 위협하고, 미국의 다문화적 가치를 훼손한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 실행 가능성:
트럼프의 추방 계획은 약 2000만 가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법적 도전과 예산 확보 문제가 현실적인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트럼프 당선인의 불법 이민자 추방 계획은 그의 강경한 이민 정책 기조를 재확인하는 사례로, 이는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동시에 국내외에서 큰 논란을 야기할 전망입니다. 앞으로의 정책 구체화 과정에서 법적, 정치적 갈등이 격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B “보호주의 발호, 유로존 경제 위협”...트럼프 체제 출범 앞두고 긴장 (15) | 2024.11.21 |
---|---|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20년 연속채택 수순..尹정부 “적대적 2국가 우려 반영”. 납북자·강제낙태·영아살해 등 비판도. 외교부 "문안 강화·새 (31) | 2024.11.21 |
종전과 확전의 기로… 일상이 된 공포 언제 끝나나. 러시아-우크라戰 1000일. 우크라, 영토 5분의 1 빼앗겨. 경제적 피해 규모는 211 (19) | 2024.11.19 |
트럼프 2기 관세보복 타깃된 베트남… 韓기업 "투자·생산 미루거나 줄여야 하나". 베트남, 美·中 사이에 껴 '진퇴양난'. 수입 34% 中 (22) | 2024.11.19 |
한덕수 총리 "내년 공시가격 현실화율 2020년 수준으로 동결" (12)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