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https://blog.kakaocdn.net/dn/bnaUM7/btsKRTHtaXt/WKvQO2n3E6Z3AwmJBO7lk0/img.jpg)
11월 1∼20일 수출 5.8% 증가...무역수지 8억 달러 흑자
11월 초순 한국의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수출액은 356억 달러, 수입액은 348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내용
1. 수출 증가세
- **반도체(42.5%)**와 선박(77.1%)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주도.
- 반도체 수출 비중은 전체 수출의 **21.7%**로 전년 대비 5.6%p 증가.
- 주요 감소 품목:
- 승용차(-17.7%)
- 석유제품(-10.4%)
- 무선통신기기(-12.2%)
2. 주요 수출국
- 수출 증가국:
- 중국(+3.5%), 베트남(+16.3%), 유럽연합(+7.5%).
- 수출 감소국:
- 미국(-2.5%), 일본(-0.6%).
- 주요 3개국(중국, 미국, 베트남)으로의 수출 비중은 49.1%.
3. 수입 현황
- 수입 증가 품목:
- 반도체(+23.4%), 반도체 제조장비(+134.8%).
- 수입 감소 품목:
- 원유(-23.7%), 가스(-5.2%), 석유제품(-18.8%).
- 에너지 수입(원유, 가스, 석탄 등)은 17.2% 감소.
4. 주요 수입국
- 수입 증가국:
- 중국(+2.0%), 유럽연합(+2.4%), 일본(+12.6%).
- 수입 감소국:
- 미국(-14.1%), 사우디아라비아(-30.2%).
지난달 성과와 비교
- 10월 수출: 575억 2000만 달러(+4.6%, 역대 10월 최고 기록).
- 10월 수입: 543억 5000만 달러(+1.7%).
- 10월 무역수지: 31억 7000만 달러 흑자(17개월 연속 흑자).
분석 및 전망
- 반도체와 선박 등 주요 산업의 회복세가 뚜렷하며, 이는 한국 수출의 구조적 강점으로 작용.
- 에너지 수입 감소는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과 연관,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
- 미국과 일본 수출 감소는 지역별 수요 변화나 경쟁 환경 변화로 해석 가능.
- 연말까지 무역수지 흑자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나, 글로벌 경제와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필요.
한국의 13개월 연속 수출 증가와 17개월 무역흑자 지속은 경제 안정성과 회복세를 보여주는 긍정적 지표로 평가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참전한 '로보택시' 시장…꽉 잡아도 주가는 27% 폭삭. 중국 로보택시 선두 주자 '바이두' (25) | 2024.11.21 |
---|---|
엔비디아 매출액 가이던스, 위스퍼 넘버 하회…시간외 주가 2%대 하락 (7) | 2024.11.21 |
강스템바이오텍, 日재생의료 심의위로부터 줄기세포 공급 승인. “내년 초 환자 치료 및 매출 실현” (33) | 2024.11.21 |
와이즈에이아이, AI 덴탈케어 플랫폼 ‘덴트온’ 수주액 한 달 만에 "50억 돌파". 기능 강화·전시 마케팅 효과… ‘빠른 속도로 시장 점유 확대’ (35) | 2024.11.21 |
'트럼프 후광' 바이오·방산株 주목... K증시 향방 삼성 HBM대응에 달려. 안정환 인터레이스자산운용 대표. 中견제용 美생물보안법 하원 통 (25)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