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물가 석달째 1%대… 체감은 여전히 '살인물가', 11월 소비자물가 1.5% 상승

산에서놀자 2024. 12. 3. 21:21
728x90
반응형
SMALL

 
 
한국의 소비자물가 동향체감물가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소비자물가 동향

  • 11월 소비자물가지수:
    •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
    • 9월 이후 세 달 연속 1%대 유지.
    • 이는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석유류 물가가 하락하면서 전체 물가 상승 폭이 둔화된 영향.
  • 품목별 물가 변화:
    • 석유류 가격: 전년 대비 5.3% 하락 (경유 -10.4%, 휘발유 -3.4%).
    • 농축수산물 가격: 전년 대비 1.0% 상승, 채소류는 10.4% 급등.
      • 무(+62.5%), 귤(+23.2%), 토마토(+15.3%) 등 특정 품목 가격 급등이 부담.
    • 서비스 물가: 전년 대비 2.1% 상승.
      • 개인서비스(+2.9%)가 상승을 주도.

2. 소비자의 체감물가

  • 소비자들은 물가 상승폭이 둔화되었음에도 여전히 **'살인물가'**를 체감.
    • 누적된 인플레이션 효과:
      • 물가지수는 2020년(기준: 100) 대비 14.4% 상승.
      • 연간 물가상승률:
        • 2020년: +0.5%,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
      • 3년간 급등한 물가 수준이 소비자 부담을 가중.

3. 정부의 입장 및 전망

  • 안정적인 물가 흐름 지속 예상:
    • 12월 소비자물가는 2% 이내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석유류 가격 안정이 물가 둔화의 주요 요인.
    • 농축산물 물가도 최근 1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 기록.
  • 체감물가 상승 이유:
    • 2022년 7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6.3% 상승했던 높은 증가율의 잔재.
    • 최근 상승률 둔화에도 과거 상승폭 누적이 소비자 부담으로 남아있음.

4. 주요 과제 및 전망

  • 농축수산물 변동성 관리:
    • 채소류 등 주요 품목의 급등은 가계 부담을 가중.
    • 안정적 공급망 구축 및 농산물 비축 확대 필요.
  • 소비자 심리 안정:
    • 물가 둔화세를 체감할 수 있도록 구체적 조치 필요.
    • 특히 생필품과 생활서비스 물가 안정화가 중요.
  • 에너지 가격 지속 관리:
    • 석유류 가격 안정이 물가 안정의 핵심 요인이므로 국제유가 변동에 주목해야 함.

결론: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되고 있지만, 누적 인플레이션 효과와 일부 품목의 급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여전히 높은 물가를 체감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안정적인 물가 흐름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농축수산물과 에너지 가격 관리가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