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스피 상장사 시총 500억 안되면 퇴출, 코스닥은 300억 미만으로 상향, 2029년까지 200개 기업 '아웃', 금융당국, 상장유지 기준 강

산에서놀자 2025. 1. 22. 08:21
728x90
반응형
SMALL

금융당국이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유지 기준을 대폭 강화하며, 저조한 실적의 좀비기업을 퇴출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이 조치는 한국 자본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됩니다.


주요 내용 요약

  1. 상장유지 기준 강화
    •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과 매출액 기준이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됨.
      • 2026년: 시총 200억 원, 매출 50억 원.
      • 2029년: 시총 500억 원, 매출 300억 원.
    • 코스닥 시장: 현행 시총 40억 원·매출 30억 원 기준이 2029년까지 각각 300억 원·100억 원으로 강화.
    • 적용 완료 시 코스피 62개사, 코스닥 137개사가 시장에서 퇴출될 전망.
  2. 완충 장치 도입
    •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에 대해 시총 1000억 원(코스피) 또는 600억 원(코스닥)을 충족하면 매출액 요건 면제.
  3. IPO 제도 개선
    • 의무보유 확약 우선배정제도:
      •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중 40% 이상을 확약 투자자에게 우선 배정.
      • 정책펀드 배정 시에도 의무보유 확약 물량에만 혜택 제공.
  4. 업계 반응
    • 긍정적 전망:
      • 시장 신뢰와 질적 수준 제고.
      • 좀비기업 퇴출로 자본시장 가치 상승 기대.
    • 우려 사항:
      • IPO 물량 감소로 모험자본 생태계 위축 가능성.
      • 일부 건실한 기업의 시장 퇴출 가능성.

시사점

  1.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가능성
    • 기업 신뢰도를 높이고 투자 환경을 개선해 국내 주식시장의 글로벌 평가를 제고할 기회.
  2. 건실한 중소기업의 보호 필요성
    • 강화된 기준이 일부 유망 기업의 시장 퇴출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부 조정 및 지원 방안 마련 필요.
  3. 모험자본 생태계 유지
    • IPO 물량 감소를 방지하고 스타트업과 신생 기업의 자금 조달 환경을 개선할 제도적 뒷받침 필요.
  4. 장기적 시장 경쟁력 제고
    • 단기적 혼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는 한국 자본시장의 내실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평가.

이번 제도 개선은 한국 자본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투자 매력을 높이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