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금융당국이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유지 기준을 대폭 강화하며, 저조한 실적의 좀비기업을 퇴출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이 조치는 한국 자본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됩니다.
주요 내용 요약
- 상장유지 기준 강화
-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과 매출액 기준이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됨.
- 2026년: 시총 200억 원, 매출 50억 원.
- 2029년: 시총 500억 원, 매출 300억 원.
- 코스닥 시장: 현행 시총 40억 원·매출 30억 원 기준이 2029년까지 각각 300억 원·100억 원으로 강화.
- 적용 완료 시 코스피 62개사, 코스닥 137개사가 시장에서 퇴출될 전망.
-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과 매출액 기준이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됨.
- 완충 장치 도입
-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에 대해 시총 1000억 원(코스피) 또는 600억 원(코스닥)을 충족하면 매출액 요건 면제.
- IPO 제도 개선
- 의무보유 확약 우선배정제도:
-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중 40% 이상을 확약 투자자에게 우선 배정.
- 정책펀드 배정 시에도 의무보유 확약 물량에만 혜택 제공.
- 의무보유 확약 우선배정제도:
- 업계 반응
- 긍정적 전망:
- 시장 신뢰와 질적 수준 제고.
- 좀비기업 퇴출로 자본시장 가치 상승 기대.
- 우려 사항:
- IPO 물량 감소로 모험자본 생태계 위축 가능성.
- 일부 건실한 기업의 시장 퇴출 가능성.
- 긍정적 전망:
시사점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가능성
- 기업 신뢰도를 높이고 투자 환경을 개선해 국내 주식시장의 글로벌 평가를 제고할 기회.
- 건실한 중소기업의 보호 필요성
- 강화된 기준이 일부 유망 기업의 시장 퇴출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부 조정 및 지원 방안 마련 필요.
- 모험자본 생태계 유지
- IPO 물량 감소를 방지하고 스타트업과 신생 기업의 자금 조달 환경을 개선할 제도적 뒷받침 필요.
- 장기적 시장 경쟁력 제고
- 단기적 혼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는 한국 자본시장의 내실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평가.
이번 제도 개선은 한국 자본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투자 매력을 높이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병환 “올해 가계부채 증가 3.8% 이내로…반도체 등 투자책 마련”, “7월 3단계 DSR 도입…지방은행 탄력 적용”, “트럼프 정부 출범에 (12) | 2025.01.22 |
---|---|
미국, 파리협약 또 탈퇴…중요한 건 'IRA' 혜택축소 여부, 배터리 업계 영향권 초긴장 신재생에너지 주력 중국 견제 한국기업 반사이익 가능성 (19) | 2025.01.22 |
트럼프, 1000억달러 AI 인프라 계획 ‘스타게이트’ 추진 (13) | 2025.01.22 |
역대 최장… 35개월 연속 기업경기 '부정', 내수침체로 비제조업 타격 커… 7개 업종 모두 악화, 내수 침체에 소비 부진… 내수·투자, 4년 반 만에 최저 (14) | 2025.01.22 |
SK하이닉스의 성과급 지급 문제는 회사와 노조 간의 갈등 (2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