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틱톡 위기' 바이트댄스, AI 투자 속도 낸다…"17조 투자 결정", 동남아 말레이시아서 AI 시설 확충… 제3자 계약 통해 엔비디아 칩 통제

산에서놀자 2025. 1. 22. 13:05
728x90
반응형
SMALL

바이트댄스, 틱톡의 미국 사업 위기 속에서도 AI(인공지능)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1. AI 투자 예산 17조 원 편성

  • AI 칩 확보: 약 7조 8,000억 원(55억 달러) 책정.
    • 60%는 자국 기업(화웨이, 캠브리콘 등)에서 조달.
    • 나머지는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칩으로 충당.
    • 엔비디아의 호퍼 시리즈 H20블랙웰 시리즈 B20 활용 전망(B20은 올해 2분기 출시 예정).
  • AI 설비 확충: 9조 7,000억 원(68억 달러) 투자.
    • 동남아, 특히 말레이시아에 AI 훈련 설비 확대.
    • 제3자 계약을 통해 미국의 제재를 우회하며 고성능 엔비디아 칩을 확보.

2. 미국의 제재와 대응

  •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제재:
    • 칩 소유자 및 운영자 신원까지 검토하며 AI 칩 접근 통제.
  • 트럼프 행정부: 제재 유지 가능성 시사.
    • 그러나 바이트댄스는 제3자 계약으로 2025년 필요 칩 대부분 확보.
  • 틱톡 금지법:
    • 트럼프 대통령이 75일 유예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미국 사업 철수 연기.
    • 틱톡은 법적 대응을 통해 사업 유지 방안을 모색 중.

3. 미래 전망

  • 미국 내 틱톡 사업:
    • 트럼프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의 틱톡 인수 가능성을 언급하며, 틱톡의 지분 절반을 미국 기업에 넘기는 방안도 고려 중.
  • AI 투자:
    • 바이트댄스의 동남아시아 AI 설비 확대는 기술 경쟁력 강화와 미국 제재에 대한 대응책으로 분석됨.

시사점:

  1. AI 분야 선점: 바이트댄스는 대규모 투자와 해외 설비 확충으로 AI 기술 개발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
  2. 미국-중국 기술 경쟁: AI 칩 조달 및 제재 회피 방안을 통해 미국의 기술 통제 강화에 대응.
  3. 틱톡 미국 사업의 불확실성: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틱톡의 사업 유지 여부가 글로벌 기술산업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