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빚 돌려 막는 60대 이상....다중채무자 잔액 급증, 3곳이상 대출 중인 60대 이상 대출액 80조 넘어, 다중채무자 차주 수, 유일하게 60

산에서놀자 2025. 1. 30. 11:17
728x90
반응형
SMALL

📌 60대 이상 다중채무자 증가…빚 돌려막기 심화
🔹 핵심 내용 요약

  1. 60대 이상 다중채무자 대출 잔액 급증
    • 2023년 말: 72.8조 원 → 2024년 3분기 말: 80.2조 원 (+10%)
    • 다중채무자(3곳 이상 금융기관 대출 이용자) 증가
    • 60대 이상에서만 대출 잔액 증가, 다른 연령대는 감소
  2. 연령별 다중채무자 대출 변화
    • 30대 이하: 140.5조 원 → 134.4조 원 (-4.3%)
    • 40대: 189.8조 원 → 186.5조 원 (-1.7%)
    • 50대: 163.0조 원 → 156.2조 원 (-4.2%)
    • 60대 이상: 72.8조 원 → 80.2조 원 (+10%)
  3. 차주 수(대출자 수) 변화
    • 60대 이상: 60.2만 명 → 63.4만 명 (+5%) → 유일한 증가세
    • 30대 이하: 138.3만 명 → 137.6만 명 (-0.5%)
    • 40대: 134.4만 명 → 131.9만 명 (-1.9%)
    • 50대: 119.6만 명 → 120.3만 명 (+0.6%)
  4. 1인당 평균 부채 증가율
    • 30대 이하: 6999만 원 → 7314만 원 (+4.5%)
    • 40대: 1억0567만 원 → 1억1003만 원 (+4.1%)
    • 50대: 9033만 원 → 9210만 원 (+2.0%)
    • 60대 이상: 7618만 원 → 7753만 원 (+1.8%)

💡 시사점 및 전망

  1. 고령층 부채 구조 악화
    • 60대 이상이 빚을 갚기 위해 새로운 대출을 받아 ‘돌려막기’ 하는 현상이 심화
    •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는 구조는 부채의 질적 악화를 의미
  2. 소득 감소 vs. 금융비용 부담 증가
    • 60대 이상은 소득이 줄어드는 시기이므로 채무 상환이 점점 어려워질 가능성
    • 고금리 환경에서 대출 이자 부담 증가
  3. 부채 증가 속도 둔화, 그러나 고령층 위험은 커져
    • 전체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줄었지만, 고령층의 다중채무 문제는 구조적 위험
    • 고령층이 금융위기의 취약점이 될 가능성이 있음
  4. 정부 정책 대응 필요
    • 취약계층 지원 예산 조기 집행 필요
    • 60대 이상 부채 관리 방안 마련 필수 (예: 연금 보완, 금융 교육, 신용회복 지원)

현재 60대 이상 다중채무자의 부채 급증이 금융시장의 새로운 위험 요인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어떤 정책이 가장 효과적일까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