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중국의 대외금융자산이 10조 달러를 돌파하며, 순대외금융자산 규모도 세계 3위에 올라섰습니다. 2024년 중국의 국제수지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말 중국의 순대외금융자산은 3조295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5.6% 증가했으며, 이는 세계에서 3위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1위와 2위는 독일(3조7075억 달러)과 일본(3조5866억 달러)입니다.
주요 내용:
- 대외금융자산 규모: 중국의 총 대외금융자산은 10조2167억 달러로, 전년 대비 6.1% 증가하여 사상 처음으로 10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여기에서 대외금융부채(6조9209억 달러)를 제외한 순대외금융자산은 3조2958억 달러에 달합니다.
- 대외금융자산 증가: 중국의 순대외금융자산 증가는 내국인의 해외투자(대외금융자산)가 외국인의 중국 국내투자(대외금융부채)보다 빠르게 증가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특히, 2023년 중국의 해외투자가 크게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순대외금융자산이 급증한 것으로 보입니다.
- 구성 비율: 중국의 대외금융자산 중 외환보유고가 34%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그 뒤를 이어 직접투자금액이 31%, 증권투자가 14%를 차지합니다.
- 경상수지 흑자: 2023년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4239억 달러로, 이는 중국 GDP의 2.2%에 해당하며, 해외투자에 주요한 자금 원천이 됐습니다. 또한, 대외투자 금액은 4215억 달러에 달하며, 주로 기업과 은행들의 해외투자에 사용되었습니다.
- 대외투자 및 외국인 투자: 2023년 외국인 투자에서 지분투자와 증권투자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순유입되었습니다. 특히, 올해 경기 회복과 과학기술 혁신이 강조되면서 중국 주식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고, 위안화 채권에 대한 투자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결론: 중국은 외환보유고와 직접투자 금액을 통해 대외금융자산을 확장하며, 대외부채를 제외한 순대외금융자산 규모에서도 세계 3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이는 중국 경제의 국제적인 위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관세 인상, 미국 화장지 대란 우려 (27) | 2025.03.31 |
---|---|
트럼프 해방의 날 D-2…“美, 값싼 일상용품 보기 힘들어질 것", 일상품 가격 이미 ‘들썩’…中 대미수출 막히면 가속화, 캐나다·멕시코·中 (6) | 2025.03.31 |
日 반도체 라피더스, 8조원 추가 정부 지원받아…누적 17.8조원, 2027년 첨단 반도체 양산 목표…4월 시험 생산 시작 (24) | 2025.03.31 |
골드만삭스 "美관세에 경기침체 20%→35%"…금리인하 3회 예상, 물가·실업률 상승에 저성장,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물가 3.5%·실업률 4.5%로 상향-GDP 1%로 하향, 금리 인하 2회→3회로 전망…"7월·9월·11월 연속" (14) | 2025.03.31 |
전기산업기사 과정형 전형의 주요 내용 (18)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