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EU, 미국에 공산품 무관세 제안…"일부 품목은 25% 맞불 관세", 철강·알루미늄 관세 보복 조치 시행일 또 연기… 부과 대상 범위도 좁혀

산에서놀자 2025. 4. 8. 10:40
728x90
반응형
SMALL

🔥 트럼프 vs EU: 관세 전쟁, 협상 카드 동시에

  • 트럼프, 중국에 이어 EU에도 전방위 압박:
    • EU산 자동차에 25% 추가 관세 부과.
    • EU가 버번위스키에 관세 매기면 EU산 주류에 200% 관세 경고.
  • EU의 대응은 이중 전략:
    • 상호 무관세 제안(zero-for-zero) → 자동차 포함 모든 공산품 무관세 협상 시도
    • 동시에 철강·알루미늄 보복 관세 계획 유지하되 시행일 연기 + 품목 축소:
      • 버번위스키·유제품 제외
      • 다이아몬드, 치실, 소시지 등은 포함
      • 5월 16일, 12월 1일 두 차례로 나눠 부과 예정

📉 왜 이게 중요한가?

  1. 무역 질서가 근본적으로 흔들림:
    • WTO 기반 다자주의는 사실상 무력화.
    • “니가 때리면 나도 때린다”식 양자 관세 체계로 회귀 중.
  2. 자동차 산업 직격탄:
    • EU→미국 수출 의존 높은 독일계 완성차 브랜드 (폭스바겐, BMW, 벤츠 등) 타격
    • 한국의 수출 구조에도 영향 가능성 (현대차 미국 생산비중·수출 라인 조정 필요)
  3. 버번 대신 소시지?
    • EU는 **트럼프의 레드라인(버번, 유제품)**은 피하면서도 압박 유지.
    • 미 대선 전까지 “맞불은 맞불인데 격돌은 피하자”는 정치적 계산도 읽힘.

📌 한국 입장에선?

  • 글로벌 수요 위축 + 공급망 혼선 동시 타격
    • 자동차, 철강, 기계, 화학 등 공산품 수출 타격 예상
  • WTO 기반 질서 약화중견무역국인 한국에 불리
  • 반면, 미국-EU가 무관세 합의 도달 시:
    • 한국은 역차별 우려 (무관세 블록 밖에 있는 한국은 상대적으로 비싸짐)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