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트럼프가 중국에 50% 추가 관세 경고까지 날리면서, 시장은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전면적 하락장(베어마켓)**을 진입 중이라는 분석이 점점 힘을 얻고 있어요.
핵심 정리:
🧨 트럼프의 폭탄 발언 – 50% 추가 관세
- 중국 34% 보복관세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정책 고수, 오히려 관세 강도를 50%까지 끌어올릴 가능성을 경고했어요.
- 이는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과 투자 심리를 흔드는 정치적 파급력을 가진 조치로 해석됩니다.
📉 “미국 증시 바닥 아니다” – 쿠퍼맨 & 군드락 경고
- 레온 쿠퍼맨: “트럼프는 침체를 유도해서 인플레를 꺾으려는 것 같다. 지금은 믿을 수 없는 환경.”
- 제프리 군드락: “S&P500의 궁극적 바닥은 4500선. 아직 11% 추가 하락 가능성.”
- 두 사람 모두 현금 비중 확대와 리스크 최소화를 조언. 즉, 지금은 매수 타이밍이 아니다는 뜻이죠.
💰 현금 is King
- 군드락은 전체 자산의 25~30%를 현금 보유하라고 권유.
-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장에서 유동성 확보가 생존 전략이 된 셈입니다.
📊 S&P500 시세 추이 요약 (2025년 4월 7일 기준)
- 고점(2월): 약 6200
- 현 시세: 5062.25
- 군드락이 말한 바닥: 4500 → 아직 -11% 추가 하락 여지
🔮 시장 전망 요약
요소방향성의미
트럼프 관세정책 | 강경 유지 | 무역전쟁 장기화, 공급망 붕괴 위험 |
연준(Fed) | 신중 모드 | 금리인하 단기적 기대는 접어야 |
기업 실적 | 하락 전망 | 쿠퍼맨 “실망스러운 실적 나올 것” |
시장 심리 | 극단적 공포(VIX 40 이상) | 투자자, 선매도 후분석 중 |
기술주·은행주 | 동반 폭락 | 구조적 리스크 신호 |
지금 이 흐름은 단순한 "조정"이라기보다, 정책 불확실성 + 실적 부진 + 금리 유보가 겹친 복합 리스크 국면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전략을 짜야 한다면:
- 현금 보유 비중 확대 – 군드락식 접근
- 방어주 or 배당주 중심 포트폴리오 재정비
- 리스크 큰 성장주/기술주 비중 축소
- 글로벌 ETF나 원자재 등 대체자산 고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건전재정” 외쳤지만 104조원 적자 (29) | 2025.04.08 |
---|---|
"현대로템, 유럽·중동 시장 확대…밸류에이션 매력 부각"-한투 (27) | 2025.04.08 |
세종으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계룡건설 '상한가' (14) | 2025.04.08 |
EU, 미국에 공산품 무관세 제안…"일부 품목은 25% 맞불 관세", 철강·알루미늄 관세 보복 조치 시행일 또 연기… 부과 대상 범위도 좁혀 (17) | 2025.04.08 |
애플 주가, 3일간 20% 가까이 급락: 시총 약 1,000조 원 증발. 단일 기업 기준으로 엄청난 손실. (29)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