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만 싱크탱크 中, 대만 침공시 병력 10만명 투입, 전 국토가 전쟁터가 될것

산에서놀자 2024. 1. 8. 18:42
728x90
반응형
SMALL

전쟁나면 대만은 초토화 된다. 동북아의 전쟁위기는 급속도로 높아진다. 한반도의 위기는 최고로 높아질것이다

다만 대만이 얼마나 버티느냐가 관건이다

미국이 얼마나 많이, 빨리 군대를 파견하고 원조하느냐가 관건이 될것이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이 참전하느냐 이다

이때 북한은 가만히 있을것이냐 아니면 참전을 할것이냐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은 직접 참전보다 교란정도의 간접 참전을 예상하는분이 많은것 같다

 

 



8일 대만 현지 언론에 따르면 대만 국방부 싱크탱크인 국방안전연구원(INDSR)은 지난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중공 정군 발전 평가 보고'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첫 상륙작전에 항공여단과 공중강습여단 소속 약 1만2000명, 해군 상륙함대 소속 약 2만4000명, 육군 수륙양용 합성여단 약 1만6000명 등 약 5만2000명과 육전대(해병대)의 헬리콥터 및 수륙양용 장갑차 약 1300대를 투입할 것으로 분석됐다.

어우시푸 중국 정치군사작전개념연구소장은 이번 보고서에서 중국군 상륙 병력이 1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중국군이 상당한 위험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만해협 폭이 100㎞를 넘고 중국군의 실전 상륙작전 경험 부족, 대만의 대함·방공 미사일 등 비대칭전력의 배치 상황이 중국군의 계획에 차질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다.

어우 소장은 중국군이 해변에 상륙하더라도 곧바로 산간 지역, 구릉, 마을들과 마주치게 돼 대규모 기계화부대의 이동이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다만 중국이 대만 상륙을 결정하면 가장 먼저 공습, 미사일 공격을 통해 대만 지휘통제 시스템을 마비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대만 국방부는 양안 간 전쟁이 발발하면 대만 모든 곳이 전쟁터가 돼 전방과 후방의 구분이 없어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1년 의무 복무병은 수비부대에 주로 근무하고 군 간부와 함께 국토 수비, 지원 작전, 중요 군사·민간 시설 방호 등 방어 임무를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