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비자물가지수(CPI) 4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 2년 4개월 만에 2%대로 하락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 2년 4개월 만에 2%대로 하락: 주요 요인과 경제 지표 분석1. 기대인플레이션율 하락수치: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 2.9%,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최저치: 2022년 3월 이후 처음으로 2%대 진입원인: 농산물, 가공식품 등 생활물가 상승세 둔화에 따른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2. 주요 변수공공요금 인상: 향후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기상 여건: 장마와 폭우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 가능성환율: 높은 환율 수준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3. 주택가격전망지수 상승수치: 주택가격전망지수 115, 전월 대비 7포인트 상승최고치: 2021년 11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최고치원인: DSR 2단계 시행 연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4. 금리수준전망지..

경제 2024.07.24

미 6월 CPI 3.0% 예상하회. 파월이 기대한 추가 물가지표

미 6월 CPI 3.0% 예상하회. 파월이 기대한 추가 물가지표 미국 노동부 통계국 지난 6월 헤드라인 CPI는 전월비 0.1% 하락했고, 전년비로는 3.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우존스가 발표한 경제학자들의 예상 평균은 전월비 0.1% 상승, 전년비 3.1% 상승이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비 0.1%, 전년비 3.0% 증가했다. 예상치는 전월비 0.2%, 전년비 3.4% 수준이었다. 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확연하게 하회한 것이다.   미국의 올해 하반기 금리인하를 앞두고 첫번째 시금점이 될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지표인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하회한 것이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이 언급했던 물가하락을 확신할 수 있는 지표가 ..

경제 2024.07.11

파월 美 연준 의장, 올해 금리 3회 인하 여전히 가능해

파월 의장은 CBS방송의 시사매거진 60분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 거의 대부분이 현재 5.25~5.5%인 금리를 연내 내릴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3회 인하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은 오는 12월까지 금리를 0.75%p 내리는 것을 예상해왔다. 파월은 다음 FOMC 회의가 끝나는 3월20일 이전에는 금리 관련 전망이 나오지는 않겠지만 연준 관리들이 급격하게 시각을 바꾸지는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경제가 취약해진다면 금리 인하를 더 앞당겨 아마도 빠르게 내릴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경제가 개선되고 물가상승(인플레이션) 더 지속되고 있는 것이 입증된다면 금리 인하는 늦게 그리고 느리게 하는 것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열린 올해 ..

경제 2024.02.05

中 12월 CPI 0.3%↓…석달째 마이너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12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0.3% 하락. 전월치(-0.5%)와 전망치(-0.4%)보다는 개선된 수치, 지난 10월(-0.2%)부터 석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다.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전년 대비 2.7% 하락하며 1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망치(-2.6%)를 하회했지만, 지난달(-3.0%)보다는 낙폭이 줄었다. 지난달 중국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대비 하락하면서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중국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세)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지난해 4분기는 국경절 연휴와 광군제, 연말 등 쇼핑 시즌이 몰렸지만 물가 지수가 하락하면서 중국의 내수 수요가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는 판단이다. 중국은 디스인플레이션이..

경제 2024.01.1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