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년 1월 소비자물가 동향 요약
올해 1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하며 5개월 만에 다시 2%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8월(2.0%) 이후 처음으로 2%를 넘어선 것입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부터 1%대에 머물렀으나, 11월부터 점차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 주요 지표
- 소비자물가지수(CPI): 115.71 (2020=100 기준)
-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 2.2%
- 근원물가지수(식료품·에너지 제외): 1.9% 상승 (전월 대비 +0.1%p)
-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2.0% 상승 (전월 대비 +0.2%p)
- 생활물가지수: 2.5% 상승
- 신선식품지수: 0.7% 상승
🚜 품목별 물가 동향
- 농·축·수산물: 1.9% 상승
- 무: +79.5%
- 당근: +76.4%
- 배추: +66.8%
- 김: +35.4%
- 배: +30.8%
- 공업제품: 2.2% 상승
- 휘발유: +9.2%
- 경유: +5.7%
- 서비스: 2.3% 상승
- 집세: +0.6%
- 공공서비스: +0.8%
- 외식: +2.9%
-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 +3.5%
🔍 해석 및 전망
- 물가 반등 요인:
- 농산물 가격 급등 → 기상 이슈, 공급 불안정 등이 원인
- 국제 유가 상승 → 휘발유, 경유 가격 상승에 영향
- 서비스 물가 상승 → 외식 및 개인서비스 수요 증가
- 경제적 영향:
- 금리 정책: 물가가 2%를 넘으면서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가계 부담: 생활물가지수 상승으로 소비자 체감 물가 압박 증가
- 정부 대응: 물가 안정을 위한 공급망 조정, 농산물 수급 대책 등이 필요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코퓨처엠, 다가올 성장기 잘 준비하고 있다-하나 (23) | 2025.02.05 |
---|---|
LG생건, 非중국 매출 성장세에 중장기 성장 동력 가능성 확인-대신 (24) | 2025.02.05 |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기출문제 2025년 시험대비 (33) | 2025.02.03 |
금융위 “조각투자 제도화” 대체거래소에서 ETF도 거래, 조각투자 샌드박스 제도화, ATS 운영방안 등 개선 (23) | 2025.02.03 |
중국의 관광과 게임 소프트웨어 산업 되살아 났나?, 지난해 서비스 무역액은 7.5조 위안(약 1조 500억 달러)으로 역대 최고치 (13)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