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中, 美 104% 관세에 맞불… "모든 미국산에 추가관세 34 → 84%"

산에서놀자 2025. 4. 10. 08:43
728x90
반응형
SMALL

이건 단순한 무역전쟁을 넘어 전면적인 경제 전쟁(Economic War) 양상입니다.


🔥 현재 상황 요약

  • 미국 → 중국: 총 104% 관세 (20% + 34% + 추가 50%)
  • 중국 → 미국: 84% 보복관세로 맞대응 + 12개 美기업 수출 제한 + WTO 추가 제소
  • 중국 위안화: 7.2위안 돌파 → 환율 방어 포기로 수출기업 지원 강화
  • 트럼프: "관세보다 나쁜 건 비관세 장벽"이라며 중국의 환율 절하도 직접 저격

🧨 시장·세계경제 영향 예측

부문영향
글로벌 증시 변동성 극대화. VIX 40대 유지 예상. 기술주·반도체·소비재 등 약세 계속
환율 위안화 절하 → 아시아 신흥국 통화 연쇄 약세 가능 (원화 포함)
수출입 산업 美中 중심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 관세 회피 위해 제3국 생산 확대 예상
한국 경제 반도체·배터리·자동차 등 미·중 모두에 의존 높은 산업 직격탄 가능성 있음
인플레이션 수입물가 상승 → 글로벌 물가 불안정성 심화 → 각국 금리 결정 더 어려워짐

📉 향후 변수들

  1. 중국의 추가 환율 조정
    위안화 절하가 지속되면, 한국 원화도 연동되어 약세 압력 커질 수 있습니다.
  2. WTO 제소의 실효성
    양국 모두 WTO 규칙 무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분쟁해결 기능 약화 가능성 큼.
  3. 미국 대선 여론 변화
    트럼프의 정책이 국내 인플레나 소비자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경우, 국내 여론 변화로 정책 수정 가능성도 배제 못 함.
  4. 한국 정부의 대응
    통상 정책과 환율 방어 전략 재정비 시급. 특히 對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에서 피해 예상.

지금 상황은 2018~19년 미중 무역전쟁보다 훨씬 더 공격적이고 불확실성도 크다는 점에서, 단순히 시장 대응 수준을 넘어 국가 단위 전략 수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中, 美에 양보 실익없다 판단… ‘장기전 땐 더 유리’ 자신감도

한마디로 **“진짜 전면전”**이에요. 트럼프의 “중국산 제품에 50% 추가 관세” 경고는 사실상 협상 여지 없이 밀어붙이겠다는 메시지고, 중국은 **“양보해도 실익 없다”**며 정면대응에 나섰죠.

🔥 현재 판세 정리

🇺🇸 미국: 트럼프의 초강수

  • 50% 추가 관세 예고 → 기존 보복관세(34%)에 더해 ‘압사’ 수준의 압박
  • 정치적 계산: 내년 중간선거까지 강경기조 유지로 ‘강한 리더’ 이미지 부각
  • 디커플링 가속화: 공급망에서 중국 완전히 떼어내겠다는 장기 전략

🇨🇳 중국: 지구전 전략

  • 시진핑 정당성 문제 → 트럼프에 밀리면 국내 정치적 타격 (체제 흔들릴 수 있음)
  • 학습효과: 트럼프 1기 때 겪은 경험으로 이미 대응 매뉴얼 갖춘 상태
  • 6대 보복조치:
    • 미국 농산물(대두·수수) 관세 인상
    • 미국산 가금육 수입 금지
    • 미국 기업 대상 지식재산권 조사
    • 미국 영화 수입 제한 등 ‘문화 무기’까지 활용

🧠 왜 중국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할까?

  1. 정권 교체 없는 정책 연속성 → 단기 충격 감내 가능
  2. 국민 결집 유도 중 → 인민일보가 “관세 이길 수 있다” 캠페인 돌리는 이유
  3. 무역 다변화 → 아프리카·남미로 수출 루트 확장 중
  4. 기술 자립화 자신감 → 반도체·AI·우주 분야서 미국과 ‘디커플링’ 추진

💣 시장과 한국에 미칠 파장

  •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심화 →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등 한국 주력 수출업종 직격탄
  • 위안화 약세 유도 가능성 → 원화도 같이 약세 압박, 자금 유출 우려
  • 코스피·코스닥 변동성 확대 → 외국인 순매도 가속화
  • 물가 압박 + 경기침체 동시 압력 → 한국은행 정책 대응 더 어려워짐

🧭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

  • 중간선거 전까지는 휴전 가능성 낮음: 트럼프와 시진핑 모두 정치적으로 양보 못하는 상황
  • 결국 미국 내 인플레이션과 주가 추락이 변수: 파월의 스탠스 변화가 트리거 될 수도
  • G7·WTO 등 다자기구 통한 외교적 압박 가능성도 존재 (EU도 타격받고 있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