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트럼프가 중국에 “50% 추가 관세” 경고를 날린 데 이어, ADB가 한국의 2025년 성장률 전망을 2.0% → 1.5%로 대폭 하향하면서 한국 경제에도 강한 경고등이 켜졌어요.
🔎 핵심 요약
📉 ADB, 韓 성장률 하향 (2.0% → 1.5%)
- 원인
- 고금리 & 가계부채 → 민간소비 위축
- 정치적 불확실성 (총선 전후 상황, 정책 불확실성 등)
- 대외 무역 불확실성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수출 타격)
- 건설 경기 부진
- 하지만 반등 요인도 언급
- AI 중심의 반도체 수출 호조
- 정부 지출 확대
- 정치 안정(하반기 가정) + 완화적 통화정책
🛢️ 물가상승률은 안정적 (2025~2026년 모두 1.9% 예상)
- 국제유가 하락과 식료품·에너지 가격 안정세 영향
🌏 아시아 전체는 상대적 양호 (2025년 4.9% → 2026년 4.7%)
- 미국 관세조치, 중국 부동산 위기 등은 전체 리스크로 인식
🧩 해석과 전망: 한국 경제에 드리우는 그림자
- 트럼프 vs 중국 ‘50% 관세전쟁’ 심화:
-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한국 주요 수출 품목이 ‘직접 피해’**를 입을 수 있어요.
- 특히 대중국 중간재 수출이 위축되면 한국 제조업 전반에 악영향.
- 환율 불안정, 외국인 자금 이탈, 금융시장 변동성 ↑
- 건설 경기 부진 + 금리 고착화 → 내수 더 위축
- 부동산 경기 침체 지속되면 건설 투자와 고용 모두 타격
- 고금리 속 가계 부채 부담 증가 → 민간소비 위축 → 소매·서비스 업황 부진
- 정부 지출 확대가 유일한 방패
- 하지만 재정 여력에도 한계가 있고, 총선 이후 정치적 교착 상태가 변수
- AI 반도체만이 희망 줄기
- 엔비디아와 협력하는 삼성·SK하이닉스의 AI반도체 수출은 긍정적
- 다만, 미국-중국 간 기술 블록화 심화 시 이마저도 리스크 요인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환율·경기침체 감안… 은행 위험가중자산 기준 완화 시급", 국민의힘 정무위 만난 은행장들, 상호관세 따른 금융지원 강화 논의, 기업금융·가상 (22) | 2025.04.10 |
---|---|
머스크·나바로 '관세정책' 충돌... "車 조립업자" "진짜 바보" 비방, 트럼프 관세發 내분 표면화, 대세 여론은 머스크 편 들어 (17) | 2025.04.10 |
트럼프 보란듯 뭉친 한중일… 경제블록화로 위기 넘을까 (25) | 2025.04.10 |
中, 美 104% 관세에 맞불… "모든 미국산에 추가관세 34 → 84%" (11) | 2025.04.10 |
[뉴욕증시] 상호관세 유예에 일제히 폭등… 테슬라 23%, 엔비디아 19%↑ (22)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