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트럼프가 중국에 “추가 50% 관세” 경고까지 날리면서 미국발 무역 압박이 절정에 다다른 가운데, 한중일 FTA 논의 재개라는 예상치 못한 외교적/경제적 반작용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어요.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 보면:
🔥 1. 트럼프발 ‘역설적’ 효과: 동북아 3국의 단결
- 원래 상호 갈등이 깊었던 한중일이 다시 만난 건 트럼프의 상호관세 전쟁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에요.
- 5년 만의 통상장관 회의 개최, FTA 협상 재개 추진은 미국의 일방주의 경제전략에 대한 대응책이자, ‘미국 없는 경제블록’의 신호탄이 될 수도 있죠.
🌏 2. 실현된다면 세계 최대급 FTA
- 3국 명목 GDP 합계: 약 23.7조 달러 → EU보다 큼
- WTO 기준 수출 1위, 5위, 6위 국가 →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 만약 한중일 FTA가 체결된다면, 세계 최대 수준의 경제블록 형성이 가능한 상황이에요. 특히 안정적 수출 시장 확보라는 점에서 한국에게도 득이 많죠.
⚙️ 3. 여전히 얽힌 복잡한 이해관계
- 한중일 모두 제조업 강국 → 반도체, 철강, 자동차 등 주요 산업 경쟁 격화 우려
- 한국은 과거 일본에 비해 소부장 열위, 중국 농산물 문제 등으로 개방에 소극적
- 게다가 미국과의 동맹 문제 때문에 외교적 부담도 존재
🔄 4. RCEP의 시너지 가능성
- 2020년 체결된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에 이미 3국 모두 가입 → 이 틀을 활용하면 한중일 FTA로의 진입장벽 낮아질 수 있음
🧠 5. 전략적 해석: 미국에 대한 ‘지렛대’
- 현실적 FTA 체결은 아직 갈 길이 멀지만, **FTA 논의 자체가 ‘정치적 카드’**로서 의미 있음
- 미국의 관세 압박에 대한 집단적 대응 혹은 협상용 레버리지로 작용 가능
- 중국 입장에서는 **미일동맹을 분열시키려는 ‘쐐기 전략’**이라는 해석도 존재
🔍 한줄 요약:
트럼프의 강경 무역정책이 동북아 3국을 밀어붙여 의외의 '경제블록화 논의'를 자극하고 있다. 실현 가능성은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한중일 FTA 논의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한국이 쓸 수 있는 ‘강력한 카드’로 부상 중.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스크·나바로 '관세정책' 충돌... "車 조립업자" "진짜 바보" 비방, 트럼프 관세發 내분 표면화, 대세 여론은 머스크 편 들어 (17) | 2025.04.10 |
---|---|
ADB, 올해 韓 성장률 2.0→1.5% 하향 [불안한 성장률], 고금리·정치·무역 불확실성 지적 (24) | 2025.04.10 |
中, 美 104% 관세에 맞불… "모든 미국산에 추가관세 34 → 84%" (11) | 2025.04.10 |
[뉴욕증시] 상호관세 유예에 일제히 폭등… 테슬라 23%, 엔비디아 19%↑ (22) | 2025.04.10 |
한국: “건전재정” 외쳤지만 104조원 적자 (29)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