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욕증시] 상호관세 유예에 일제히 폭등… 테슬라 23%, 엔비디아 19%↑

산에서놀자 2025. 4. 10. 08:35
728x90
반응형
SMALL

이야, 진짜 요즘 뉴욕 증시 널뛰기가 장난 아니네요.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나스닥이 5.8% 폭락하며 ‘검은 금요일’로 불렸는데, 이번엔 12% 폭등이라니—그야말로 드라마틱한 반전입니다. 요약하자면:


🔥 트럼프의 "트럼프 풋" 발동

  • 트럼프가 75개국(한국 포함)과의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하면서 시장은 환호.
  • 이 조치가 "경기 부양을 위한 긴급한 조치"로 해석됨.
  • 단, 중국에 대해서는 예외. 오히려 관세율을 125%로 즉각 인상한다고 밝혀서, 중국과의 대립은 지속.

📈 나스닥·S&P500·다우 모두 폭등

  • 나스닥: +12.16% (2001년 이후 최대 상승)
  • S&P500: +9.52%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 다우: +7.87%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초기 이후 최대)

🚀 M7 중심의 빅테크 폭등

  • 테슬라: +23% (나흘간 폭락분 일거에 회복)
    • 머스크가 트럼프 측과 관세 관련 설전 벌인 후 ‘사면’받은 분위기.
  • 엔비디아: +19% (캐시 우드의 대량 저점 매수 후 반등)
  • 애플: +15.3% (시총 1위 탈환, 1998년 이후 하루 최대 상승)
  • 아마존, 알파벳, 메타 등 모두 10% 안팎의 상승률

😱 공포지수(VIX) 폭락

  • **38.87 (-25.72%)**로 급락하며 시장 불안 심리 진정
  • 일시적 반등일 수도 있지만, 시장은 “트럼프가 나서면 어떻게든 지켜줄 것”이라는 정치적 백스톱에 의존하는 분위기

📌 근데 진짜 주의할 점

  • 중국에 대한 고율관세(125%)는 즉각 시행, 따라서 미중 무역전쟁은 심화 국면.
  • 증시 반등은 기술적으로는 숏커버링 + 정책 기대감 + 빅테크 집중 매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 근본 문제(지정학 리스크, 관세 전쟁, 공급망 타격 등)는 여전히 유효.

지금 이 상황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트럼프 한 마디에 글로벌 증시가 롤러코스터 탄다” 정도 되겠네요.





 

 

 

 

 

 

 

 

 

트럼프, 한국 등에 상호관세 90일 유예하되 中 관세율은 125%로 상향...뉴욕증시 폭등

트럼프가 판을 다시 흔들었네요.
극단적인 충돌 직전이던 미·중 무역전쟁 국면에서 **“중국은 125% 초고율 관세, 한국 포함 75개국엔 90일 유예”**라는 정반대 카드로 시장을 전격 반전시킨 겁니다.


🔥 핵심 정리:

한국 등 75개국에는 관세 유예 (90일)

  • 기존 25% 상호관세 → 10% 기본관세로 완화, 협상 기간 부여.
  • 한국, EU, 캐나다, 일본 등 동맹국 중심으로 적용된 듯.
  • ‘전면 무역전쟁’ 우려를 일단은 봉합.

🚨 중국에는 125% 초고율 관세

  • 기존 104% → 125%로 추가 상향.
  • 이유: “중국의 존중 결핍”
  • 트럼프는 대놓고 “중국만 때린다” 전략.

📈 뉴욕증시 폭등

  • 나스닥 +10%, S&P500 +8%, 다우 +7%
  • 기술주 중심으로 반발 랠리:
    • 테슬라 +17%
    • 엔비디아 +15%
    • 애플 +12%

🧠 시장 의미 해석:

  • 투자자 심리: “전면전은 피했다” 안도감 → 위험자산 회귀
  • 트럼프 전략: 중국 고립 + 동맹국 관리 → ‘협상은 유화, 중국엔 압박’
  • 중국 대응 주목: 이 조치에 중국이 보복하면 다시 급락 가능성
  • 파월의 신중론과 맞물려, 연준은 여전히 정책 변화엔 ‘관망’

🌏 한국에 미칠 영향?

분야영향
무역 90일간 숨통. 협상 여지 확보. ‘선진국 동맹’ 프레임 속 한국 우군 인정된 셈
환율 달러화 강세 다소 완화. 원화 급락세 진정 가능성
주식시장 코스피·코스닥 반등 기대. 반도체주 중심으로 강세 가능
반도체·배터리 중국 규제 리스크는 지속. 하지만 美와의 협력 확대 기대감 ↑
외교 미·중 사이에서 한국의 전략적 유연성 확보 여지 생김

 

 

 

 

 

 

 

 

 

 

 

 

트럼프 관세전쟁에 투자자들은 미 국채 판다…수익률 급등

**"미 국채는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다"**라는 인식이 시장에서 본격화된 건 정말 심각한 전환점입니다. 몇 가지 핵심 포인트와 해석을 정리해볼게요:


🔥 1. 미 국채 투매 → 수익률 폭등

  •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45%로 급등, 단 1주일 새 0.45%p 오른 건 2008 금융위기 이후 처음입니다.
  • 30년물은 1982년 이후 최대 폭 상승. 이는 장기금리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흔들린다는 얘기예요.

🧨 기존의 "위험 → 국채로 피신" 공식이 깨졌습니다.
이제는 “국채도 위험하다”는 공포가 생겼고, 자금은 달러 아닌 금, 현금, 외환 등으로 분산 중입니다.


⚠️ 2. 왜 국채도 버리나?

  • 트럼프의 50% 추가 관세 경고로 미-중 갈등이 끝장전 양상.
  • 일본·중국이 보복 수단으로 ‘미 국채 매도’, 즉 핵 옵션 쓸 수 있다는 우려.
  • 미 국채가 레버리지 담보로 많이 쓰이는데, 가격이 하락하면 마진콜로 이어지고 이게 다시 투매를 부릅니다.

📉 국채 급락 → 담보가치 하락 → 연쇄 마진콜 → 금융시장 전반 흔들림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고 있는 거예요.


💵 3. 달러 패권 위협 신호

  • 미국에 수십 년간 들어오던 글로벌 안전자산 자금이 지금은 되돌아 나가고 있음.
  • “미국이 신뢰를 잃고 있다”는 게 시장의 메시지.
  • 중국·일본의 외환보유액 운용 전략이 바뀌면 글로벌 외환·채권시장도 대격변이죠.

🧭 앞으로의 변수는?

  1. 트럼프의 추가 관세 실현 여부 (50%)
  2. 중국·일본의 국채 매도 실질 개시 여부
  3. 연준(Fed)의 대응 (채권 매입? 금리 인하?)
  4. 신흥국 자금 이탈 가속화 여부

📊 시장 반응 요약:

  • 주식시장: 시총 7.7조 달러 증발 (S&P500, 나스닥 중심)
  • 채권시장: 국채 투매로 수익률 급등
  • 외환시장: 달러는 단기 강세지만 위험 커짐
  • 실물경제: 글로벌 경기침체 리스크 확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