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여성과 남성의 뇌는 다르다?…AI, 뇌 사진으로만 성별 90% 구분

산에서놀자 2024. 2. 20. 16:02
728x90
반응형
SMALL

 

 

 

 

 

AI(인공지능)가 뇌 스캔 사진만으로 뇌 주인이 여성인지 남성인지 구별하는 데 성공했다. 

성별에 따른 뇌 구조의 차이를 방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성별이 인간 뇌 조직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비노드 메논 미국 스탠퍼드 의대 교수(인지·시스템뇌과학 연구소장)가 이끈 연구팀은 AI에게 뇌 스캔 데이터 1500개를 학습시킨 결과 뇌 패턴에 따라 성별을 구별하는 데 90% 이상 성공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 치료 방법을 달리하는 접근법을 성차의학이라고 한다. 

똑같은 약물을 투여해도 생물학적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거나 심하면 부작용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저명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논문 심사 시 실험에서의 성차 고려 여부를 중요 평가 요소로 반영하기 시작했다.

 


메논 교수 연구팀은 뇌 조직에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여성의 뇌와 남성의 뇌가 다른가라는 의문은 뇌과학계의 오랜 난제였다.

만약 성별에 따른 뇌 구조 차이가 있다면 여성과 남성이 각각 다른 신경 정신 질환을 앓을 수 있기 때문에 필수적인 연구로 꼽혔다.

 


먼저 연구팀은 뇌 영상 데이터를 분류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심층 신경망 모델(stDNN)을 만들었다. 

AI에게 뇌 스캔 영상을 보여주면서 뇌 주인의 성별을 알려주고, AI가 여성과 남성의 뇌 조직 패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AI는 이전까지 발견하지 못했던 성별에 따른 뇌 패턴 차이를 인지하기 시작했다.

 


이어 학습을 마친 AI에게 20~35세 사이의 남녀 뇌 스캔본 약 1500개를 보여주며 뇌 패턴만으로 뇌 주인의 성별을 구별할 수 있는지 알아봤다. 

AI는 스캔본만 보고 여성의 뇌인지 남성의 뇌인지 구별하는 데 성공했다. 

정답률은 90% 이상이었다.

 


AI는 뇌 부위 중에서도 특히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 선조체, 변연계의 차이를 통해 성별을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MN은 내측전전두엽피질 등에 퍼져있는 신경세포망으로 뇌가 휴식을 취할 때 오히려 활발해지는 회로다. 

창의성, 통찰력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뇌피질과 시상을 연결하는 선조체는 결정과 선택을 맡고 있다. 

변연계는 대뇌 부위로 기억 및 각성에 관여한다.

 


연구팀은 이들 부위가 자폐증, 우울증, 조현병 등 각종 뇌 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들 뇌 질환에는 성별에 따른 유병률 차이가 실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성별이 인간의 뇌 조직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라는 강력한 증거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개발한 뇌 분석 모델을 적용해 인지 능력과 행동들이 특정 뇌 부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대부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에 활용된 AI 모델을 모든 연구자에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I모델로 남여 성별을 구분하고

남여 질병을 찿아내고

그래서 치료법도 정확하게 찿아낸다면 대단한 발견이다

인간의 질병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