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은 프랑스 장기 국채 신용등급을 'AA'에서 'AA(마이너스)-'로 한 계단 강등했다.
전망은 안정적이어서 추가 강등을 예고하지는 않았지만 그 배경이 프랑스 경제 성장 둔화에 기인한 정부 부채 비율 증가라고 밝혀 경제의 수호꾼 역할을 자처하던 마크롱 대통령에게 타격을 줬다.
S&P는 프랑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하강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지만 오는 2027년까지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외려 늘어날 것으로 수정했다.
S&P는 정치적 분열'로 인해 마크롱의 개혁이 개혁을 통해 성장을 끌어올리거나 '예산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마크롱 정부의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비관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일 여론조사 업체 입소스를 인용해 마크롱의 중도 우파 연정이 지지율에서 극우 마린 르펜의 국민연합 주도의 야권 연합에 17.5%p 차이로 밀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가 신용등급 강등은 오는 9일 총선을 앞둔 마크롱의 중도 연정에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야권 연합은 정부의 예산안 처리에 반대해 3일 불신임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파리의 경제연구소 렉시코드 소장 샤를 앙리 꼴롱비에는 S&P의 등급 강등은 적절하다면서 모든 유로존(유료 사용 20개국) 가운데 오직 프랑스와 이탈리아 두 나라만 이처럼 높은 GDP 대비 부채 비율을 안고 있고, 비율은 악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은 1월 이미 예고된 것이나 다름없다.
당시 정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예상치 4.9%를 크게 웃도는 5.5%로 나타났다.
프랑스 재정적자는 지난 수십년 일상이었지만 지난해 예상치 못한 210억유로(약 31조원) 세수 감소를 겪으면서 부채가 급격히 불어났다.
급격한 세수 감소는 마크롱의 지속적인 법인세 감세와 기업친화적인 개혁이 부른 필연적인 결과다.
마크롱은 이 같은 감세가 낙수효과를 불러 성장을 높이고, 세수 총액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낙관했다.
그러나 감세의 낙수효과는 기대에 못 미쳤고, 결국 총 세입의 급격한 감소를 불렀다.
한편 금리 상승 속에 프랑스 국채 이자 부담도 급증하고 있다.
2020년 290억유로 수준이던 이자 부담이 올해에는 500억유로를 넘어서 국방 예산을 웃돌 전망이다.
2027년에는 800억유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부자감세가 마크롱의 정치운명을 좌우할것 같다
세수감소가 재정적자를 확대시키고 부채비율을 급등시켯다
윤석열정부의 부자감세로 지난해 대규모 재정적자를 기록했다. 그래서 부채는 부채대로 증가햇다. 국방,복지예산,R&D예산 등이 대폭감축되었다
마크롱 과 윤석열대통령의 운명은 경제에 달렷다
특히 재정적자 심화로 국가운영이 어려울정도 인것 같다
부자감세로 부자들은 좋을지 모르지만
서민들은 죽음이다
국가의 재정이 위태로워지고 있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 성공…세계 최초 달 뒷면 샘플 채취 (36) | 2024.06.02 |
---|---|
일본 우익성지 야스쿠니에 '오줌테러'... 정체는 중국 인플루언서 (57) | 2024.06.02 |
종부세 개편… 정부, 다주택자 중과부터 손질 (44) | 2024.06.02 |
인도 모디 총리 3연임 '유력'. 총선 출구조사서 여권연합 압승, 최대 401석…의석수 과반 웃돌듯 (1) | 2024.06.02 |
트럼프 유죄 평결 뒤 후원금 쏟아졌다. 3480만弗 걷혀 (26) | 202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