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신형 ICBM 시험발사 성공"…김정은 "핵패권 지위 못 거슬러". 김정은, 딸 김주애와 동행…ICBM 발사 전 과정 직접 지휘

산에서놀자 2024. 11. 1. 10:51
728x90
반응형
SMALL

북한이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포-19형'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딸 김주애와 함께 발사 과정을 현장에서 직접 지휘했으며, 이는 북한이 전략 무력에서 절대적 우세를 영구히 지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해석됩니다. 북한의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 미사일이 고도 7687.5km까지 상승해 약 1001.2km를 비행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북한의 전략적 억제력과 최신 무기 체계의 신뢰성을 과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화성포-19형은 고체연료를 사용하여 기습 발사가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11축 이동식발사대(TEL)에서 발사된 것으로 보입니다. 김 위원장은 이번 발사 성공으로 북한의 핵투발 수단 개발에서 확보한 패권적 지위가 불가역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핵무력 강화 노선을 유지할 것임을 재확인했습니다.

한편, 북한의 ICBM 기습 발사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북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으며, 북한의 핵 보유국 이미지를 공고히 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미국 대선 앞두고 ICBM 깜짝 발사...김정은의 3가지 속셈
 北 핵보유국 지위 얻어 경제 제재 없는 '정상국가' 목표 北의 러시아 파병 '시선 돌리기'…내부 동요 잠재우고 체제 결속

북한이 미국 대선을 앞두고 기습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며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0월 31일, 북한은 평양 인근에서 동해로 ICBM 1발을 발사해 약 1,000km 비행한 후 동해상에 떨어졌습니다. 이번 발사는 고각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상각으로 발사할 경우 미국 본토까지 타격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됩니다.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은 미국과의 대화를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 발사를 통해 '핵보유국'으로서의 지위를 굳히려 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 과정에서 불거진 국제사회의 비난을 다른 이슈로 전환하고, 북한 내부의 결속을 다지는 목적도 엿보입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번 발사는 적들의 군사 활동에 대응하는 적절한 군사행동"이라며 북한의 핵무력 강화 기조를 이어갈 것을 시사했습니다.

한편, 한국과 미국은 북한의 발사에 즉각 대응해 110대 이상의 전투기가 참가한 대규모 공중훈련을 실시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