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얼어붙은 내수에 수출은 1%대 증가… 깊어지는 '저성장 늪',[2025 경제정책방향], 암울한 전망 내놓은 정부, 계엄·탄핵 여파 불확실성 확

산에서놀자 2025. 1. 2. 19:55
728x90
반응형
SMALL

2025년 한국 경제는 낮은 성장률 전망, 정치적 불안정, 그리고 대외 요인으로 인해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경제성장률 전망

  • 1.8% 성장률 전망: 기존 예상보다 0.4%p 낮아진 수치로, 2%대를 밑도는 희귀한 상황.
  • 수출 증가율 1.5%: 2024년 8.2%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로, 반도체 등 주력 업종의 경쟁 심화와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가 주요 원인.

2. 내수 침체와 정치 불안

  • 정치적 혼란: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이 내수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소비심리 위축: 2024년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전월 대비 12.3p 하락, 코로나19 이후 최대 하락 폭.
  • 건설경기 부진: 2024년 3·4분기 건설투자가 전기 대비 -3.6%를 기록하며 지속적 감소.

3. 대외 불확실성 증가

  • 트럼프 2기 행정부: 미국 신정부의 정책 변화로 글로벌 통상 환경이 불확실해짐.
  • IMF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 2025년 세계 성장률을 3.2%로 예상하나, 최대 -0.8%p의 하방 요인 가능성 제기.

4. 고용시장 침체

  • 취업자 증가 둔화: 2025년 취업자 수는 12만 명 증가로, 2024년(17만 명) 대비 감소.
  • 건설 및 수출 둔화 영향: 내수와 수출 모두 부진하면서 고용 시장에 부정적 영향 지속.

5. 정부 대응 방안

  • 추경 편성 검토: 2025년 1·4분기 경기 흐름을 관찰 후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포함한 경기 보강책 마련.
  • 단기적인 대응: 정치적 혼란 속에서 관리형 정부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경제 안정화에 초점.

종합 분석

2025년 한국 경제는 내수 부진과 수출 둔화가 결합된 복합적인 위기 상황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비상계엄, 탄핵 정국)과 대외 환경 변화(미국 통상 정책, 글로벌 경기 둔화)가 경제의 주요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 등 단기 대책을 마련하려 하지만, 근본적인 경기 회복은 정치적 안정과 대외 불확실성 해소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외국인 국채 매입절차 간소화… 통합매매 전환·글로벌 판매 모델 활성화

정부가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외국인 투자자와 해외 자본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를 포함한 환율 안정 및 금융시장 활성화 계획이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습니다.


1. 외국인 국채 매입 절차 간소화

  • 기존 절차의 문제점: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국채를 매입하려면 펀드별로 개별 계좌를 개설하고 매매·결제·보고 절차를 각각 진행해야 했음.
  • 통합매매 방식 도입: 글로벌 수탁은행이나 자산운용사 단위로 통합매매를 적용하여 번거로움을 해소.
  • 글로벌 판매 모델 활성화:
    • 글로벌 은행(예: 씨티은행, HSBC)이 해외 투자자와 국내 금융기관 간 거래를 중개.
    • 국내 은행에 해외 마케팅 권한 부여, 외국 투자자를 직접 상대할 수 있는 체계 마련.

2. 외환시장 접근성 개선

  • RFI 기업 영업범위 확대:
    • 기존에는 주식·채권 관련 환전만 가능했으나, 이제 수출입대금 결제 등 경상거래까지 지원.
    • 다국적 기업이 생산·수출 대금을 원활히 환전 가능.
  • 야간 거래 활성화:
    • 외환시장 개장시간 연장(익일 새벽 2시까지)에 이어 자동 알고리즘 거래 시스템(eFX) 도입.
    • eFX는 다수의 소액 주문을 모아 자동으로 처리, 야간 거래 활성화 기대.

3. 기대효과

  • 환율 안정: 해외 자본 유입으로 달러 공급 증가, 원화 수요 촉진으로 고환율 완화.
  • 금융시장 경쟁력 제고: 외국인의 접근성을 높이고, 거래 시간과 참여자 수를 늘려 변동성을 줄임.
  • 자본시장 활성화: 글로벌 금융환경에 부합하는 투자 인프라 구축으로 해외 투자자 유치.

4. 종합 분석

이번 정책은 고환율과 금융시장 경쟁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평가됩니다. WGBI 편입 이후 외국인 투자 환경을 개선해 한국 채권 시장의 매력도를 높이고, 환율 안정과 함께 금융시장의 유동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트럼프 2기' 대응 무역금융 360조 공급… 반도체 기업 14조 지원

정부는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무역금융 확대, 수출 지원 강화, 주요 산업 맞춤형 지원 등 다양한 대책을 발표하며, 대외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무역금융 및 수출 지원 확대

  • 무역금융: 360조 원으로 확대(전년 대비 5조 원 증가).
    • 초대형 수주 프로그램: 지원 규모를 10조 원 추가, 2028년까지 총 95조 원 투입.
  • 수출지원 예산: 사상 최대 2조 9000억 원 배정(전년 대비 8000억 원 증가).
    • 원전, 방산, 녹색인프라 분야 수출지원 펀드에 집중 투자.
  • 긴급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 도입:
    • 대출 금리 최대 1.2%p 인하, 대출 한도 10% 확대.

2. 대외 무역 및 통상 정책

  • 미국 신정부 대응:
    • 범정부 합동 '대외관계장관 간담회' 구성.
    • 미국 내각과 신속한 협력 채널 구축.
  • FTA 개선: 칠레, 중국, 영국 등과 자유무역협정 후속 협상 가속화.
  • 경제안보품목 지원:
    • 국내 공장 신증설 시 외국인투자 및 지방투자 보조금 확대.
    • 500억 원 규모의 공급망기금을 활용해 민관 공동투자 추진.

3. 주요 산업별 맞춤형 지원

반도체 산업

  • 반도체특별법 제정 지원.
  • 투자세액공제율 상향, 2%대 저금리 정책금융 14조 원 지원.
  • 기반시설 및 연구개발(R&D) 지원 강화.

이차전지

  •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혜택 축소에 대비한 대미 통상 대응체계 마련.
  • 정책금융 공급 확대 및 첨단산업 특화단지 기반시설 지원.

조선업

  • 외국인력 허용 비율 특례 확대(내국인의 20% → 30%).

4. 정부 정책의 배경 및 기대효과

  • 대외 환경 변화 대응: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 교역환경 변화에 대비.
  • 수출 다변화: 무역금융과 맞춤형 산업 지원으로 신흥 시장 개척.
  • 경제안보 강화: 주요 품목의 공급망 안정화 및 국가 경쟁력 확보.
  • 고용 창출: 조선업 인력난 해소와 산업 전반의 유동성 공급으로 고용시장 개선.

종합 분석

이번 정책은 대외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한 선제적 대응국가 경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이차전지 등 주력 산업 지원과 함께, 원전·방산·녹색인프라 수출 촉진은 한국 경제의 장기적 성장동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고채 남발로 부채비율 50% 위협… 국가 신용등급 악영향

2025년 경제정책 방향에 따라 추가경정예산(추경) 및 국고채 발행 확대가 논의되는 가운데, 국가 부채비율 증가와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가 부채비율 상승 우려

  • GDP 대비 부채비율:
    • 2015년~2016년: 약 34% 수준.
    • 2024년: 47%대로 증가.
    • 2025년: 50% 돌파 가능성.
  • 국고채 발행 확대:
    • 2024년: 158.4조 원 → 2025년: 197.6조 원(24.7% 증가).
    • 추경 편성 시 추가 발행 가능성.
  • 외평채 발행: 환율 안정화를 위해 최대 20조 원 규모 추가 발행 예정.

2. 국가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 현재 신용등급 현황:
    • 피치(Fitch): AA- (안정적).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AA.
    • 무디스(Moody's): Aa2 (2015년 이후 유지).
  • 신용등급 하락 요인:
    • 부채비율 상승 → 정부 채무상환능력 약화.
    • 글로벌 신평사의 등급전망 조정 가능성.
  • 연쇄 영향:
    • 국책은행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 금융기관 및 기업의 해외 차입 비용 증가.
    • 유동성 문제 및 고금리 상환 부담 확산.
  • 2025년 만기도래 외화채권 규모: 약 497억 달러(전년 대비 20% 증가).

3. 추가경정예산(추경)의 중요성

  • 추경 규모 전망:
    • 씨티 리서치: 1분기 약 30조 원 추경 예상.
    • 유진투자증권: 상반기 10조 원 이상.
  • 효과적 사용 필요성:
    • 내수 활성화에 실패할 경우 부채비율 증가경제성장 둔화 우려.
    • 실패 시 국고채 발행 증가로 금융시장 압박 가능성.

4. 전문가 의견

  • 신중한 채무 관리 필요:
    • 나이스신용평가: "구조적 채무 상환 능력에 중점 관리 필요."
    • "부채비율 50% 근접 시, 신평사들의 등급 하향 검토 가능성 증가."
  • 추경의 내수 효과 강조:
    •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 부채 증가와 경제 둔화의 악순환 초래."

5. 정부의 대응 방향

  • 부채비율 관리:
    • 국고채 발행 규모 억제 및 재정 건전성 강화 필요.
  • 추경 활용:
    • 내수 회복 중심의 투자 우선.
    • 재정지출 효율성 극대화.
  • 외환시장 안정:
    • 외평채 발행을 통한 환율 안정 기조 유지.

결론

정부는 경기 부양과 재정 건전성 간 균형을 유지해야 하며, 특히 추경이 내수 활성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 국가 신용등급 및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재정 정책의 신중한 운영과 함께, 글로벌 신용평가사의 평가 기준을 고려한 장기적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