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등산.여행 201

백담황태구이

백담황태구이 주소 : 강원 인제군 북면 백담로 24미시령 방향으로 용대삼거리에서 백담사 입구 우회전, 들어오시는 길로 내가평교 다리 건너 100m 우측에 위치.전화 : 033-462-5870영업시작 : 07:00  방송에도 나옴2TV생생정보 973회, 20.01.01.2020년 1월 1일 황태구이 맛있는녀석들 137회, 17.10.06.2017년 10월 6일 황태구이정식  소개글청정 강원의 자연의 맛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겨우내 자연이 만들어 낸 황태와 국산 콩만을 고집하여 청정 동해 바닷물을 간수로 하여 만든 순두부. 정말 자랑하고 싶습니다. 찾으신 분들이 또 찾아 주시는 곳, 바로 백담황태구이입니다. 정성을 다해 만든 음식으로 여러분을 모시겠습니다. 많은 애용바랍니다. 맛있는녀석들 137회 전국투어..

등산.여행 2024.06.17

설악산 수렴동계곡

수렴동계곡[ 水簾洞溪谷 ] 소개글백담사 주변의 백담산장에서 수렴동 대피소까지의 계곡을 통칭하며, 행정구역상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 속한다. 명칭은 금강산의 수렴동계곡에서 따왔다. 구곡담계곡과 함께 내설악의 대표적 계곡으로서 특히 가을 단풍길로 유명하다. 상류에 구곡담계곡이 있고, 하류에 백담계곡이 이어진다. 백담탐방지원센터~백담사~영시암~수렴동 대피소에 이르는 수렴동코스는 11.2㎞ 거리에 편도 약 3시간이 소요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렴동계곡 [水簾洞溪谷]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설악산 수렴동·구곡담계곡 일원[ 雪嶽山水簾洞九曲潭溪谷一圓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내설악에 있는 계곡과 그 주변 지역.2013년 3월 11일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백담산장에서 수렴동대피소..

등산.여행 2024.06.17

설악산 공룡능선

설악산 공룡능선[ Gongnyong Ridge in Seoraksan Mountain , 雪嶽山 恐龍稜線 ]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능선. 2013년 3월 11일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소개글2013년 3월 11일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보통 마등령에서부터 희운각대피소 앞 무너미고개까지의 능선구간을 가리킨다. 외설악과 내설악을 남북으로 가르는 능선이자 속초시와 인제군을 나누는 경계선으로 용아장성능선과 함께 설악산을 대표하는 암봉 능선이다. 명칭은 연이어진 암봉들이 마치 공룡의 등같이 생겨 용솟음치는 것처럼 장쾌해 보인다고 해 붙여진 이름으로 공룡릉(恐龍稜)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은 영동·영서를 나누는 분기점으로 구름이나 안개가 자주 끼는 등 기상이 시시각각 변하며, 그 운해와 어우러져 국립공원 100경 중 제..

등산.여행 2024.06.17

설악산 소청봉 일출

소청봉  소개글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방면의 설악산에 있는 봉우리설악산의 주봉인 대청봉과 중청봉에 인접한 봉우리로서 해발 1550m이다. 원래는 외설악에서 바라보면 쌍봉처럼 보이는 2개의 묏부리를 대청봉과 소청봉으로 불렀는데, 언제부터인지 이들을 대청봉과 중청봉으로 부르고 내설악에서 보이는 이 봉우리를 소청봉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속초시 설악동 방면에서 시작되는 천불동계곡 등산로와 인제군 용대리에서 시작되는 백담계곡 등산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으며, 여기서 중청봉을 거쳐 대청봉까지는 약 50분 거리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소청봉 [小靑峰]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설악산 소청봉 일출새벽 2시에 일어났다희운각대피소에서 2시 40분에 출발 했다하지만 얼마 가지 안아서 너무 힘들었다..

등산.여행 2024.06.17

설악산 봉정암

봉정암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설악산(雪嶽山:1,708m) 소청봉 북서쪽에 있는 사찰.  소개글봉정암[ 鳳頂庵 ]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설악산(雪嶽山:1,708m) 소청봉 북서쪽에 있는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인 백담사의 부속암자이다. 대표적 불교성지인 오대적멸보궁(五大寂滅寶宮) 가운데 하나로 불교도들의 순례지로서 유명하다. 대청봉 산마루 가까이에 있는데, 해발고도 1,244m 지점에 있어 백담사와 오세암을 거쳐 봉정암에 이르기 위한 산행은 매우 힘겹다. 봉황이 알을 품은 듯한 형국의 산세에 정좌하고 있는 봉정암은 거대한 바위를 중심으로 가섭봉·아난봉·기린봉·할미봉·독성봉·나한봉·산신봉이 감싸고 있다. 현존하는 전당은 법당과 요사뿐이다. 법당 옆 바위 위에는 강원특별자치도..

등산.여행 2024.06.17

설악산 오세암

오세암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 있는 암자.  소개글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백담사의 부속암자이다. 백담사에서 약 6㎞ 떨어진 곳에 있으며, 영시암을 지나 마등령으로 가는 길에 있다. 647년(신라 선덕여왕 13) 자장(慈藏:590~658)이 이 곳에 선실(禪室)을 지은 뒤, 관세음보살이 언제나 함께 있는 도량이라는 뜻으로 관음암(觀音庵)이라고 하였다. 1445년(조선 세조 1)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이 이 곳에서 출가하였고, 1548년(명종 3) 보우(普雨)가 이 곳에서 기도하다가 문정왕후에 의해 선종판사로 발탁되었다. 1643년(인조 21) 설정(雪淨)이 중건하고 오세암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름을 바꾼 데 따른 전설이 전하고 있다. 설정이 고아가 된 형님의 아들을 이 암자에서 ..

등산.여행 2024.06.17

설악산 영시암

영시암 소개글강원도 인제군 북면 설악산(雪嶽山)에 있는 조선후기 삼연 김창흡이 창건한 암자. 역사적 변천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1653~1722)이 1709년(숙종 35년)에 창건해 6년간 머물렀다. 그 뒤 폐허로 남아 있던 것을 1691년(숙종 17) 설정(雪淨)이 승당과 비각을 중건했다. 1760년(영조 36) 석존불을 개금했다. 일제강점기인 1925년 주지 이기호(李基鎬)가 중수했고, 1950년 6·25전쟁으로 전각이 소실된 것을 1994년 백담사 주지 설봉도윤(雪峯道允)이 중창했다. 내용 1709년 조선 후기의 유학자 김창흡이 심원사 남쪽의 조원봉 아래에 정사를 창건했다. 그는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부친 김수항(金壽恒)이 사사(賜死)된 뒤로는 세상에 진출할 뜻이 없었는데 1705년(숙종 ..

등산.여행 2024.06.17

설악산 희운각대피소

설악산 희운각대피소설악산 대피소는 소청대피소.희운각대피소,양폭대피소,수렴동대피소가 있습니다소청대피소는 대청봉에서 봉정암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소청봉 아래에 소청대피소가 있습니다.대청봉 정상을 가고 일출만 본다면 소청대피소가 제일좋다양폭대피소는 대청봉에서 천불동계곡으로 내려 가다 천정폭포 아래에 있습니다천불동계곡을 즐기는것이 목적이면 양폭대피소가 좋다수렴동대피소는 영시암에서 수렴동계곡을 땨라 봉정암으로 가는 길에 수렴동대피소가 있습니다희운각 대피소는 설악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대피소 중 하나로, 대청봉과 중청봉 사이  아래 중턱에 있습니다중청대피소의 숙박기능을 2023년 10월에 폐쇄 하고 희운각 대피소가 중청대피소의 기능을 이어받아  희운각 대피소의 시설을 개선하는 작업을 완료해서 새롭게 오픈했습니다희운..

등산.여행 2024.06.17

태고사

태고사[ 太古寺 ]창건시기 : 신라시대 창건자 : 원효대사 소재지 : 충남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산29 소개글대둔산의 해발고도 878m 마천대 능선에 있는 사찰로, 신라 신문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 원효가 12승지의 하나로 꼽은 명당으로, 한때는 대웅전만 72칸에 이르는 웅장한 규모를 자랑했다.인도산(印度産) 향근목으로 만든 불상이 봉안되어 있었으나, 6·25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최근에 다시 지은 대웅전, 무량수전, 관음전 등의 여러 건물이 있으며, 이 태고사를 끼고 낙조대에 오르면 대둔산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금강산 마하연사와 동렬의 명찰로 서산대사의 법손 진묵대사가 오랫동안 수도하다 입적하였으며, 많은 고승 대덕을 배출하였다. 우암 송시열이 이곳에서 도를 닦으며 쓴 석문이 절 앞 암벽에 아직도..

등산.여행 2024.06.09

대둔산

대둔산도립공원대둔산  주소 :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611-34 전화 : 063-290-2743   대둔산 케이블카 주중 09:00~17:00 (매표 마감 16:40) 주말 09:00~17:20 (매표 마감 17:00) 대둔산 케이블카[왕복] - 대인 15,000원 - 소인 11,500원   주차시설 : 가능     소개글 노령산맥 줄기가 김제의 만경평야를 향하다 금산지역에서 독립된 산군을 이루며 절경을 이룬 곳이 대둔산이다.  호남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이 산은 정상인 마천대(879.1m)를 비롯하여 사방으로 뻗은 여러 산줄기가 어우러져 칠성봉, 장군봉 등 멋진 암봉을 이루고, 삼선 바위, 용문골(장군봉, 칠성봉), 금강통문(동심암, 금강암, 약수터, 삼선암, 왕관암, 마천대) 등 사방으로 기암괴석..

등산.여행 2024.06.09
728x90
반응형
LIST